2.2.1 프로그램 개발의 배경
도둑게는 바닷가 가까이에 있는 냇가나 논밭이나 산기슭에 굴을 파 고 살면서 부엌까지 들어와서 음식을 훔쳐 먹는다고 해서 ‘도둑게’라는 이름이 붙었다(백용해, 2014). 도둑게는 육지성 게로 조수의 영향을 받 지 않는 저지대나 골짜기에 서식하며 봄이 되어 겨울잠에서 깨면 짝짓기 를 시작해서 포란 중인 암컷은 6월에서 9월까지 발견된다(Saigusa, 1978; Suzuki, 1981). 포란한 암컷은 여름철 사리에 일몰 후에서 자정 사이의 만조시간을 중심으로 유생을 풀어주기 위해서 해안이나 바다로 흐르는 강으로 이동한다(Saigusa, 1981; Saigusa & Hidaka, 1978). 물 가에 도착한 암컷 도둑게는 배갑을 열고 몸을 털어서 배갑으로 감싸고 있던 유생을 풀어준다. 유생을 풀어주는 개체수는 그믐달이나 보름달이 뜰 때 최대가 되고 반달이 뜰 때 가장 줄어든다. 이것은 그믐달이나 보 름달이 뜨는 사리 때가 밀물이 가장 많이 들어오고 썰물이 가장 많이 나 가기 때문에 이 때 유생을 풀어주면 바다에 더 성공적으로 도착할 수 있 는 기회를 주기 위한 것으로 설명된다(Saigusa, 1978).
도둑게는 갯벌이 있는 남해와 서해에 서식하고 있으며, 여름철 사리 날 밤에 바닷가에서 유생을 풀어주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어 경이로운 체험을 할 수 있고 도둑게의 이동으로 인해 해안도로에서 일어나는 로드 킬과 개체수 감소 문제를 해양 관련 사회적 쟁점으로 해양환경교육 프로 그램으로 구성한다면 해양생물들과 직접적인 만남을 통한 의미 있는 삶 의 경험을 하고 감정적인 연결성을 키울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조사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로드킬 저감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 제 안하는 과정에서 참여의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2.2.2 목표 수립
본 연구에서는 획일적인 갯벌체험이나 해양쓰레기에 대한 해양환경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서 해양 생물과의 직접적인 만남 이 이루어지고, 지역 사람들의 삶과 문화와 연계되어 있으며, 해양 관련 사회적 쟁점을 기반으로 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홍순경, 2005; Greely, 2008; Kim, 2014). 이를 위해서 연구 2에서 수 행한 도둑게의 유생털이 리듬과 로드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이로운 체험과 로드킬 쟁점을 기반으로 하여 해양 환경 소양을 키울 수 있는 해 양환경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해양생물에 대해 이해하고 해양생 물과의 직접적인 만남을 통한 정서적 교감을 통해 의미 있는 삶의 경험 (Tanner, 1980)을 구성하고 해양 환경문제를 통해 인간과 해양의 상호 작용을 인식하여 해결방법을 제안하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해양 환경소양 을 증진하고자 하였다.
2.2.3 개발 방향 및 내용선정
양명희와 이두곤(2009)은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을 해양환경 교 육에 적용하여 해양환경교육 내용을 다섯 가지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다 섯 영역은 1영역 해양환경 자체에 대한 이해, 2영역 해양환경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 3영역 해양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 4영역 해양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해결방안, 5영역 보다 근본적으로 해양환경 을 보전하기 위한 대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환경소양을 증진하기 위해서 해양환경교육 프로 그램을 ‘지식, 정서, 인식, 참여’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표 Ⅴ-2).
지식영역은 양명희와 이두곤(2009)의 1영역 해양환경에 대한 이해와 2 영역 해양환경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포함시켰다. 정서 영역은
해양과의 직접적인 만남과 경이로운 체험을 통해 정서적 연결을 강조하 기 위하여 추가하였다. 인식 영역에서는 3영역에 해당하는 해양 환경문 제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제를 인식하고 탐구하도록 하였다. 참여 영역 에서는 4영역과 5영역을 합쳐서 해양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방 안과 대책을 제안하고 참여하도록 하였다.
‘도둑게의 유생털이와 로드킬’ 프로그램에서 지식 영역으로는 도둑 게의 명칭과 유래, 생활사, 유생털이리듬, 도둑게와 인간의 관계를 포함 시켰다. 정서 영역에서는 도둑게의 유생털이를 실제로 관찰함으로써 해 양생물과의 직접적인 만남을 통한 경이로운 체험을 통해 긍정적 환경정 서(강민정, 2014)인 경이감과 동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인식 영역 에서는 3영역에서의 해양 환경문제를 인식하도록 하되 해안 개발과 오 션 스프롤 현상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생태계 파편화, 로드킬, 개체수
<표 Ⅴ-2> 경이로운 체험과 해양 환경 쟁점 기반으로 한 해양환경교육 모델 해양
환경소양 영역
해양환경교육 내용 ‘도둑게의 유생털이와 로드킬’ 내용
지식
해양환경 자체에 대한 이해 해양환경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
⇨
도둑게의 생활사, 도둑게 명칭의 유래, 달의 위상과 물때에 따른 갑각류 십각 목의 유생털이 리듬, 도둑게와 인간이 주고받는 영향
-해양환경에 대한 지식 습득
정서 만남을 통한 경이로운 체험 ⇨
도둑게의 유생털이를 위한 이동, 유생 털이 관찰
-경이로운 체험을 통한 감정이입
인식 해양 환경 쟁점 인식 ⇨
해안개발(해안도로)로 인한 서식지 파 괴, 개체수 감소, 성비 불균형, 도둑게 와 인간의 관계, 로드킬 모니터링 -도둑게 로드킬 문제의 인식
참여 해양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 적인 해결방안과 대책 ⇨
로드킬을 저감시키기 위한 해결 방안, 지속가능한 해안, 연안의 보전
- 해양시민성 함양
감소에 대해서 설명하고 직접 해안도로에서의 로드킬을 모니터링 하여 해양 환경문제를 실제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 영역 에서 는 4영역과 5영역을 통합하여 해양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으로 로드킬을 저감시키기 위한 대책을 모색해 보고 제안하는 활동 을 포함시 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