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참 고 문 헌

강민정(2014). 정서가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민정, 류재명, 김종균(2015). 초등학생의 환경정서가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3), 159-172.

공주대학교산학협력단(2018). 사회환경교육지도서 해양환경부문 운영방 안 연구.

교육부(2015).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교육부(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길철호, 이동원, 이동환(2015). 교과별 정의적 영역의 의미와 요소 –도 덕, 사회, 영어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3), 189-216

김건희(2018).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SSI)을 활용한 국외 교수학습 프로그램 분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남수(2007). 환경교육프로그램의 회고적 평가-1997 년 ‘지역사회단체 지도자를 위한 시범환경교육’참여자의 내러티브 연구. 서울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동렬(2017). 초등 예비교사들의 해양학적 소양과 해양 관련 주제의 교 수 전략에 대한 의견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9(2), 396-408.

김삼곤, 차지철(2009).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해양교육의 목표영역과 내 용영역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1(2), 237-246.

김삼곤, 차지철(2010).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과서의 해양관련 내용 보완 을 위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275-286.

김소영(2012). 생태시민성의 사회과교육적 의의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예은(2016). 자연경관 감상이 자연 유대감과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미 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일방(2016). 비인간중심주의 환경윤리의 내재적 가치 권리론에 관한

비판적 입장 고찰. 철학연구, 140, 191-215.

김종문(2012). 초등교사의 해양수족관 현장학습에 대한 인식과 해양수족 관의 교육적 기능. 수산해양교육연구, 24(3), 459-467.

김종문, 윤성규(2015). 한국해양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성 탐색. 과학교육 연구지, 39(1), 80-87.

김지연(2012). 사회적 합의과정을 강조한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 제(SSI)교수의 교육적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찬국, 김태연, 이두곤(2018). 우리나라 해양환경교육 교재 분석. 환경 학교육연구, 22, 35-47

김찬국, 이두곤, 한나희(2016). 해양환경교육 교재 개발을 위한 교육과 정 분석. 환경학교육연구, 20, 61-78

김혜민(2010). 한국 해양교육의 특징과 발전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김희경(2018). 우리나라 생태시민성의 특성 탐색을 위한 경험적 연구.

환경교육, 31(1), 23-34.

김희경, 신지혜(2012). 생태시민성 관점에서의 환경교과 분석 –고등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 교육학회지, 20(1), 125-141.

김흥태, 전민정, 김재근(2012). 초등학생의 생물에 대한 정서적 친밀감 및 지적 호기심, 자연 및 생물에 대한 경험과 환경 친화적 행동 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31(2), 197-207.

남미리, 윤순진(2016). 학교-사회 협력 환경교육 참여자들의 사회적 자 본 형성 과정. 환경교육, 29(1), 1-14.

류미, 김재근(2019). 도둑게의 유생털이를 위한 이동 특성을 활용한 해 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환경교육 32(2), 222-242.

문경희(2011). 나딩스(Nel Noddings)의 배려이론이 초등학교 환경가치 교육에서 갖는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성채, 이영희, 손연아(2015). 과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해석한 환경소

양 요소에 의한 중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과서 분석. 환경교 육, 28(1), 1-14.

민황용, 김성미(2006). 붉은발말똥게의 형태적 특성 및 육상 환경 적응 에 관한 연구. 제 52회 전국과학전람회.

박경애, 우혜진, 김경렬, 이수광, 정종률, 조병철, 강현주(2013). 해양에 대한 호기심과 친근감 향상을 위한 해양캠프 프로그램의 적용:

2004~2012년. 바다, 18(3), 142-161.

박순경(1998). 메타 교육과정으로서의 cross-curricula에 대한 일고. 교 육과정연구, 16(2), 165-184.

진희, 장남기(1996). 고등학생들의 남녀별 조절점 방향 실태 및 환경 행 동과의 관련성 조사. 환경교육, 9, 17-29.

박현주, 김나형(2018).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SSI)을 활용한 국내 프로그램 분석. 대한화학회지 62(2):

137-147.

방윤영(2019). 에코웨딩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백용해(2014). 한국의 게. 인천: 녹색습지연구원.

서수연(2011). 해양생물다양성 보전방안을 위한 기초연구.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동희, 손연아, 박준희(2008). 중등 환경교과서와 10학년 과학교과서의 공통 내용 분석. 환경교육, 21(3), 26-40.

신미숙(2015). 유아를 위한 지역사회자원 활용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 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안나(2016). 교과 통합적 접근을 통한 ‘범교과 학습’ 실행 방안. 경인교 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명희, 이두곤(2009). 해양환경교육을 위한 탐구중심 환경교육의 관점.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9(11월), 137-143.

유태숙(2004). 현장체험학습을 이용한 순천만 갯벌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성규, 제종길, 정수정(2006). 한국 해양환경교육의 역사와 도전. 한국 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43-147.

윤옥경(2006). 해양 교육의 중요성과 지리 교육의 역할. 대한지리학회 지, 41(4), 491-506.

이나영, 이우균(2014).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기후 변화 교육 내용 분석. 환경교육, 27(4), 475-485.

이성덕, 김형균(2010). 환경 감수성의 이론적 탐색. 교육논총, 47(2), 65-8.

이윤구(2011). 인간 간섭에 의한 해안 환경 변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항(2014). SSI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의사결정능력과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재영, 김인호, 정수정, 곽정난, 준모, 조찬희, 조아라(2018). 사회환경 교육지도사 해양환경부문 운영방안 연구. 해양환경공단 해양교육 원.

이태천(2001). 한국 일본 중학생들의 해양에 대한 관념 비교연구.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한민(2005). 동해안에서의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주(2018). SSI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 박영스토리.

임경순, 소금현, 심규철, 여성희(2011). 감정 이입 학습 전략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기반 초등학생용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환경교육, 24(2), 99-111.

장미정, 임수정, 정철, 홍선욱, 이종명(2018). 해양 환경소양과 핵심역량 에 기초한 초· 중학교 해양환경교육 교재 개발. 환경교육, 31(2), 153-166.

장미화(2017). 초등학생을 위한 창의ㆍ인성교육으로서 교과 통합과 SSI 를 활용한 조류 생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가능성 탐색.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수임, 신동희(2019).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및 개선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2), 263-277

정우리, 문성배(2014). 해양리터러시 개념에 기반한 해양교육 모델코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38(5), 437-442.

정원영, 박은지, 이주연, 김찬종, 박지은(2009).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환경교육 내용 요소 분석. 환경교육, 22(2), 92-106.

정철(2004). 중학생의 환경세계관과 환경의식. 환경교육, 17(1), 122-132.

정해림, 임미연(2017). 거주지역 생태탐사 프로그램에서 보이는 학습자 와 자연 간의 상호작용 양상의 탐색. 환경교육, 30(1), 1-25.

정화성, 이정화, 정연옥(2010). 해안지역 초등학생을 위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 27-40.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조유리(2014). 초등학생의 환경혐오도와 자연 유대감. 서울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주은정(2010). 초등 생태교육을 위한 토양 종자 은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영순(2003). 숲 체험학습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의식 및 태도에 미 치는 효과.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유정, 이정교(2014). 해양박물관에서 체험전시 연출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9, 153-161.

최지연 (2019).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및 통합사회 교과서에 제 시된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비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천문연구원(2017). 2018 역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0). 해양교육 계획 수립을 위한 기반 연구.

해양수산부(2015). 제1차 해양환경교육 종합계획. 세종시: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2005). 청소년 해양교육 활성화 방안. 서울: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개발교육원(2012). 해양환경개발교육원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 세종시: 해양수산부.

허미화(2017). R. Carson의 ‘경이감’ 사상이 지속가능발전 지향 유아교 육에 주는 함의. 어린이미디어연구, 16(2), 21-46.

홍선욱, 이종명, 장용창, 홍수연, 이종수, 이미정(2014). 해양환경교육 활 성화 방안 연구. 해양환경관리공단.

홍순경(2005). 한국의 해양환경교육 분석과 활성화 방안. 부산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Agate, J. R. (2010). Inspiring Awe in the Outdoors: A Mechanistic and Functional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lemson University. Clemson, SC.

Aresco, M. J. (2005). The effect of sex-specific terrestrial movements and roads on the sex ratio of freshwater turtles. Biological Conservation, 123(1), 37-44.

Arindel, W. A. (2000). Phobic dimensions: IV. The structure of animal fear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8, 509-530.

Bai, Y., Maruskin, L. A., Chen, S., Gordon, A. M., Stellar, J. E., McNeil, G. D., Peng, K., & Keltner, D. (2017). Awe, the diminished self, and collective engagement: Universals and cultural variations in the small 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3(2), 185.

Ballantyne, R., Packer, J., & Sutherland, L. A. (2011). Visitors’

memories of wildlife tourism: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powerful interpretive experiences. Tourism Management, 32(4), 770-779.

Bellis, M., Jackson, S., Griffin, C., Warren, P., & Thompson, A.

(2013). Utilizing a multi-technique, multi-taxa approach to monitoring wild-life passageways on the Bennington bypass in Southern Vermont. Oecologia Australis, 17, 531

–544.

Bergin, M. E. (1981). Hatching rhythms in Uca pugilator. Marine Biology, 63, 151-158.

Bishop, M. J., Peterson, C. H., Summerson, H. C., Lenihan, H. S.,

& Grabowski, J. H. (2017) Effects of ocean sprawl on ecological connectivity: impacts and solu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492, 7-30.

Bonnet, X., Naulleau, G., & Shine, R. (1999). The dangers of leaving home: dispersal and mortality in snakes. Biological Conservation, 89, 39-50.

Bonner, E. T., & Friedman, H. L. (2011). A conceptual clarification of the experience of awe: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Humanistic Psychologist, 39(3), 222-235.

Bossér, U., & Lindahl, M. (2019). Students’ positioning in the classroom: a study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s in a socioscientific issue context.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9(2), 371-390.

Bratman, G. N., Hamilton, J. P., & Daily, G. C. (2012). The impacts of nature experience on human cognitive function and mental health.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249(1), 118-136.

Burggren, W. W., & McMahon, B. R. (1988). Biology of the Terrestrial Crab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Çalik, M., Karataş, F. Ö. (2019). Does a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course improve scientific habits of mind and attitudes towards socioscientific issues?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