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프로그램 적용 결과
4.3 프로그램 운영결과
프로그램은 1박 2일에 걸쳐서 진행되었다(표 Ⅴ-5). 1일차 오후에 는 도둑게의 생활사에 대한 실내 강의식 수업이 이루어졌다. 이 때 갯벌 의 생태와 해안도로 건설 전의 마을의 모습에 대한 배경 지식을 설명하 고 도둑게의 생활사와 유생털이 리듬과 관련되어 있는 달의 위상과 물때 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 때 사람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생털이 하 는 모습을 영상으로 보여주었다.
<표 Ⅴ-5> ‘도둑게의 유생털이와 로드킬’ 프로그램 적용
날짜 시간 장소 주제 내용
1일차
16시~
18시
시청
각실 도둑게의 생활사
갯벌의 다양한 생물들 마을의 변화와 갯벌 도둑게의 생활사와 서식지
달의 위상과 물때에 따른 유생털이리듬
19시~
22시
해안
도로 도둑게의 유생털이 관찰 도둑게 서식지와 가까운 바닷가에서 사리날 밤에 만조 시간에 유생털이 관찰하기
2일차
7시~
8시
해안
도로 로드킬 모니터링 해안도로에서 도둑게 로드킬 지점 조사하기 로드킬 발생 특성 파악하기
9시~
11시
시청
각실 로드킬 저감 방안 제안 모니터링 결과 공유하기
로드킬을 줄이기 위한 방법 모색하기
밤에는 야외 해안에 나가서 도둑게의 유생털이를 관찰하였다(그림
Ⅴ-2). 관찰 장소로 이동하면서 도둑게 서식지 굴을 함께 관찰하고 도랑 구석진 곳에서 돌아다니는 도둑게를 한 두 마리 잡아서 암수를 배갑과 집게발의 형태로 구별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포란한 암케의 모습을 가까 이에서 볼 수 있도록 했다. 관찰 장소에 도착한 후에는 육지 방향에서 해안으로 내려오는 도둑게가 바닷물에 살짝 들어가서 배갑을 열고 유생 을 바다에 풀어주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보름날에 가장 많은 개체들이 유생을 풀어주기 때문에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유생털이를 여러 번 관찰 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유생털이 모습을 보면서 놀라워 했고 그 장 면을 영상으로 남기기 위해 노력했다.
<그림 Ⅴ-2> 도둑게의 유생털이 관찰 모습
2일차 아침에는 유생털이를 관찰했던 장소 주변 해안도로에서 로드 킬이 일어난 위치와 개체별로 기록하였다. 모니터링 한 결과를 기록할 수 있도록 지도를 나눠주기도 하고 휴대폰으로 구글 마이맵에 도둑게 사 체를 발견한 지점을 등록해서 기록하기도 했다(그림 V-3). 사체를 기록 할 때에는 암수, 포란 여부, 사이즈 등을 함께 기록하도록 했다. 특히, 도둑게 로드킬 주의 안내판을 어느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을까 하는 질 문을 통해서 사체가 집중되어 있는 구간이 어디인지 생각해 보고 그 원 인을 함께 파악해 보도록 했다.
야외에서 모니터링을 마친 후에 다시 실내에 들어와서 모니터링 결 과를 공유하고 로드킬 저감 방안과 관련한 활동을 진행하였다. 회차에 따라서 도둑게 로드킬 표지판 만들기(그림 Ⅴ-4), 로드킬 저감을 위한 제안서 쓰기(그림 Ⅴ-5), 도둑게에게 편지 쓰기 등을 하기도 했다.
<그림 Ⅴ-3> 구글 마이맵을 이용해서 로드킬 된 도둑게의 위치를 등록한 결과 (경남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 2018년 8월 12일)
<그림 Ⅴ-4> 해안도로에 설치할 도둑게 로드킬 안내판 제작 결과
존경하는 군수님께 안녕하세요?
저는 도둑게를 위한 생태통로를 연구한 6학년 윤OO입니다.
저는 지금 도둑게르 키우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도둑게는 정말 귀엽고 예쁘게 생겼습니다.
그런데 산란철에 도둑게가 산에서 바다로 이동하는 중에 로드킬을 많이 당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도둑게와 같은 사각게과인 붉은발말똥게는 현재 멸종위 기종입니다.
만약 도둑게가 로드킬을 당해서 죽도록 방치하면 금방 붉은발말똥게와 같은 운명 에 처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도둑게들의 안전한 도로횡단을 위해 해안도로에 생태통로를 설치한다면 도둑게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도둑게의 유생부터 보호를 할 수 있다면 도둑게 개체수가 늘어나서 도둑게 를 관광자원으로 만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크리스마스 섬이 홍게로 유명해진 것처럼 우리나라에도 도둑게로 유명한 관광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전국에서 도둑게를 보러 관광객들이 오면 지역경제에 큰 도움 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어쩌면 전 세계에서 관광객들이 올 수도 있겠죠. 저 의 연구와 도둑게에게 많은 관심과 도움 부탁드립니다.
<그림 Ⅴ-5> 도둑게 생태통로 설치에 대한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