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숙달형 움직임통합은 암기와 연산처럼 단순하고 반복적인 기능을 단련

하기 위해서 신체움직임을 활용하였다 기억을 떠올릴 때나 암산을 할 때 . 손가락을 튕기거나 고개 끄덕이기와 같은 신체움직임을 무의식적으로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우리는 더 빠르게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손동작을 사. 용하기도 하고 대화중에 사용하고 싶은 정확한 단어를 인출하기 위해서 , 제스처를 쓰기도 한다 인간의 정보처리 관련 인지기능이 신체움직임과 밀. 접하게 연결되어 촉진되는 사례들은 신체움직임과 인지활동을 동시에 수행 하여 인지기능을 증진시키려는 수업 아이디어로 연결될 수 있다 숙달형 . 움직임통합은 동시작업과 몸으로 반응하기를 통해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고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신체움직임과 학습기능 연습을 동시에 수행하는 멀티태스킹 ,

즉,

동시작업을 수업에 활용하였다 학생들은 단순한 암기와 암산을 외우

. 는 동시에 리듬에 맞추어 신체를 움직였다 신체움직임의 내용과 학습내용. 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고 내용과 상관없이 병렬적으로 대 통합이 1 1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합이 이 되는 분모가 같은 두 진분수의 짝을 외. , 1 치면서 마주보고 있는 친구와 리듬막대를 주고받는 것이다 학생들은 리듬. 막대를 눕히고 세운 후 서로 부딪히고 하나의 리듬막대를 살짝 던져 짝과 동시에 주고받으며 은 분의 “1 4 3 더하기 분의 4 1, 1은 분의 5 2 더하기 5 분의 3” 등과 같이 분수의 덧셈을 박자에 맞추어 계산했다 숫자는 바뀌고 . 동작은 계속 반복되었다 비슷한 예로 김태양 교사는 고무줄로 티니클링 . 춤을 추며 곱셈구구 구구단 를 외우는 학년 수학활동을 소개하였다 수학( ) 2 . 연산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한 후 연산을 기계적으로 반복 숙달해야 하는 , 단계에서 암산과 신체활동의 동시작업을 하며 집중력과 사고력을 기르고자 하였다 수학뿐만 아니라 국어 사회 등의 수업에서 단어와 문장을 암기할 . , 때 간단한 신체율동과 리듬을 함께 넣어 외우기도 하였다 암송하는 학습. 내용과 신체움직임 사이에 관련이 있을 수도 있지만 항상 그럴 필요는 없 었다 예를 들어 일련의 동작을 반복하며 동시를 암송하고 단체줄넘기를 . , ,

하며 알파벳이나 한글자모를 익히는 노래를 부르는 것이다 학생들은 리듬. 에 맞추어 문장을 외치고 정해진 신체동작을 병행하여 암기를 했다 학습. 의 원뿔(Dale, 1996)에 따르면 가만히 앉아서 계산을 하고 문장을 암기하 는 것보다 직접 입 밖으로 소리내보고 몸을 움직여 실행할 때 더 많이 기, 억할 수 있다 동시작업은 기본움직임기술을 학습과정에 통합해 통상적으. 로 움직임통합이 어려운 단순반복적인 인지기능도 신체를 움직이며 효과적 으로 숙련시킬 수 있게 한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었다.

학년과 같은 경우는 분수의 덧셈을 리듬막대를 주고 받으면서 외우는 거예요 이것은 이

4 . 1

되는 분수의 덧셈을 한 거구요 이런. 식으로 움직임을 하면서 수 계산을 하니까 집중해야 해잖아요. 리듬막대가 떨어지거나 하면 다치고 친구한테 피해를 주니까 수학시간에는 아까. 처럼 저학년은 커다란 수판에서 움직이면서 수학을 하고 고학년 같은 경우는, 이런 막대나 콩주머니 같은 걸 이용해서 두 명씩, 세 명씩, 네 명씩도 서로 주고받으면서 수 계산하기 를 해요.

통합교과에 가을축제가 나와요 가을에. 배운 노래랑 시로 엮어서 활동을 했어요. (중략)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온 동화가 있는데 그중에 가을에 해당하는 책을 통째로 한 권을 다 암송한 거예요. 이렇게 움직이면서 아침마다 2줄씩 추가를 계속 했거든요. 그래서 결국 에는 이제 시간이 지나서 그 책 한 권을 다 외웠으니까 이렇게 공연할 때 올린 거죠.

김태양 심층면담

( , )

두 번째로 학습에 대한 이해를 신체움직임으로 답하는

,

몸으로 반응하기

활동을 사용하였다 가장 보편적인 사례로 듣기와 말하기를 중심으로 하는 . 초등영어 수업에서 사용하는 전신반응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이 있다 교사가 목표언어로 명령이나 지시를 하면 학생들은 행동으로 반. 응한다 영어수업 상황에서 발화를 하기 전에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제공. 하고 편안하고 재미있게 새로운 언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교수법이다.

학생들은 자신의 행동을 영어단어의 의미와 연결하며 언어적 표상을 자기 화한다.

학년 학년 학년 가르쳐봤는데 확실히 아이들이

4 , 5 , 6 언어를 말로 바로 뱉는 것보다는 몸으 로 한번 익히고 그 익힌 것을 가지고 쉽게 문장을 만들어 내는 것까지 조금 어렵겠지만 중간중간 단어를 익힐 때 몸을 사용했던 것도 괜찮았던 것 같아요. 그래서 뭐 진짜 간단한 것 “Stand up” 이런 것도 할 수 있는 거고. “Touch your head” 이런 식으로 명령하고 몸으로 표현하게 하는 것도 많이 했었던 것 같아요.

홍우주 심층면담

( , )

수학에서도 수를 신체움직임으로 나타내어 수 감각을 길렀다 이화성

.

교사는 숫자를 말하였고 학생들은 5 단위의 박자에 맞추어 박수로 응답 했다 학생들은 쳐야 할 박수 횟수에 가 몇 번 들어가고 몇 번의 박수. 5 , 를 더 쳐야 수를 완성할 수 있을지 생각하였다 오차 없이 박수를 치기 . 위해서 사칙연산의 개념을 활용해야만 했다 김태양 교사의 학생들은 . 1 부터 100까지의 수가 적힌 큰 수판 위에 서서 수를 뛰어 세고 거꾸로 세, 었다 앉아서 손가락으로 교과서나 허공을 가리키며 뛰어 세는 것에서 그. 치지 않고 숫자를 눈으로 보고 실제로 몸으로 뛰어보며 수를 소리 내어 읽었다 점차 학생들은 뛰어 세는 수의 배수만 소리 내어 읽을 수 있게 되. 었고 자연스럽게 수 개념에 익숙해졌다 또 다른 예시로 곱셈구구를 처음 . 배우는 학년 학생들은 노래를 부르며 기계적으로 외우는 것이 아니라 몸2 으로 곱셈구구를 나타낸다. 1부터 까지의 수를 의미하는 마임을 사용하여 9 말하지 않고 두 한 자리 수의 곱을 몸으로 표현한다 친구의 마임을 보고 . 곱셈식과 답을 말하며 단순히 곱셈구구를 외울 뿐만 아니라 곱셈의 의미 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박수치기에 의미를 좀 넣어볼까 해서 수 개념을 넣었어요. 예를 들어 10은 5 곱하기 가2 되는 거잖아요. 6은 5 더하기 이 되는 거고 이렇게 도입을 한거죠 중략 적당히1 . . ( ) 한 두 세 개 정도만 하면 아이들이 수업시간에 곱셈이 나오면 연결시킬 수가 있죠. 중략 그래( ) 서 이게 어떻게 보면 나눗셈에도 들어가요. 12 나누기 는 가 두 번 있고 나머지가 가5 5 2 있잖아요 그런. 식으로 연산에 다 활용이 되더라구요 어떻게 보면 나눗셈이나. 곱셈이나 사칙연산은 이 자체로만 해서 아이들에게 익히게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문제만 풀고 재미 없게 하는 것 보다 박수로 수( ) 감각을 연계하는 게 충분히 가능한거죠.

이화성 심층면담

( , )

정도의 수판이 부터 까지의 수가 표 안에 그려져 있어요

3M, 3M 1 100 . 아이들이 뛰어세

기 거꾸로, 세기를 하면서 리듬에 맞게 칸 위에서 뛰어요. 한 칸, 한 칸, 두 칸 해서 30개 를 세면 에서 한 발1 2에서 한 발 3에서 두 발 4에서 한 발 5에서 한 발 6에서 두 발 이런 식으로 뛰어세기를 할 때 리듬을 넣어서 수를 외쳐요 때문에 처음에. , 는 1(작게) 2(작게) 3(크게) 4(작게) 5(작게) 6(크게) 이렇게 하지만 나중에 익 숙해서 그냥 가다가 _,_3,_,_6 이런 식으로 외치기 때문에 그런 것들이 계속 반복 되었을 때는 수적인 기억력도 도와요.

김태양 심층면담

( , )

말만하고 수모형 조작하는 것보다 마임을 사용하는 거죠 중략. ( ) 먼저 보여 주고 3 곱하기 을 마임으로 나타내고 친구들과 함께 맞추어보세요 그럼 한 명이 몸으로 곱하기 을

1 . 3 1

마임으로 나타내죠 그럼. 다른 친구가 그걸 보고 맞추는 거죠. 곱셈구구를 마임으로 표현 하는 것.

음악수업에도 음계를 신체움직임으로 반응하는 활동이 있었다 학생들

7 .

이 각 음계의 역할을 맡아 노래를 부를 때 자신의 음계에서 약속한 신체 활동을 하였다 또는 낮은 음계부터 높은 음계를 아래에서 위로 점차 올라. 가며 서로 다른 손동작으로 표현하는 코다이 교수법의 손기호를 활용하였 다 음계를 나타내는 손의 제스처는 계명창을 할 때 정확한 음높이를 표현. 하는 데 사용되었다 여러 교과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몸으로 학습내용에 . 반응하는 활동들은 지시하는 과업에 따른 즉각적인 응답을 요구하였고 학 생들은 반복적으로 몸의 반응과 학습을 강하게 연결시켰다 학습목표는 언. 어 감각 수 감각 음 감각과 같이 익숙해지면 무의식적으로 몸에 기억되, , 는 직관적인 감각을 숙달시키는 것과 관련이 깊었다.

예를 들어, 민속동요를 들으면서 시를 읊으며 중간에 개구리처럼 뛰어올라요. 중략 이게( ) 음계 안에서 아이들이 다 음이 있는 거예요 어떤. 아이는 도 어떤, 아이는 레 미 이런, 식 으로 음이 있어서 개굴 할 때 그 음에 해당하는 아이들이 개구리처럼 뛰는 거예요.

김태양 심층면담

( , )

음악수업에서 코다이 음절 사용하기

일반 설문조사 ( M-38, )

숙달형 움직임통합은 근육을 체력운동으로 단련시키듯이 사고와 인지능

력을 신체움직임으로 숙달시켰다 신체움직임이 학습내용과 관련이 있거나 . 꼭 학습내용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지 않더라도 일정한 체계 속에서 인 지활동과 신체활동이 나란히 대응하였다 신체움직임은 말하기 리듬 따르. , 기 인공물 시각적 정보 등의 다중양식과 상호작용하며 함께 의미를 형성, , 하였다 숙달형 움직임통합을 통해 학생들은 신체활동으로 향상된 집중력. 을 바탕으로 학습의 기본기가 되는 암기와 암산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 다양한 학습감각들을 능숙하게 익혀나갔다(what). 신체움직임은 배경이 되어 학습과제에 더 몰입하도록 도왔고 운동감각을 활성화하여 학습과 관, 련한 인지적 감각을 깨웠다(how). 외부환경은 신체움직임과 밀접하게 연 결되어 인지과제의 복잡성을 환경에 분산시키는 착근된 인지(Shapiro,

를 형성하도록 도왔다 기본적이고 직관적인 학습기능과 인지능력은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