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나 초등학생의 학습과 신체활동

1) 초등학생의 발달과 신체활동

초등학교 아동은 간접적이고 무의식적인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배우며

,

움직이고 말하고자 하는 충동을 가지고 본능적으로 놀이와 재미를 추구하, 는 일반적인 특성을 가진다(Halliwell, 1992: 고경석 등, 2010에서 재인 용 때문에 편안하고 수용적인 학습 분위기 속에서 참여하는 신체활동과 ).

놀이를 통한 학습은 초등 아동의 욕구를 반영한 발달 친화적 교육방법이 다 엄태동. (2003)은 아동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아동의 세계는 상당히 미분화된 전체에 해당한다

(1) .

아동은 놀이와 학습을 따로 구분하지 않는다

(2) .

아동은 언제나 내재적인 흥미에 휩싸여 능동적으로 활동에 참여한다

(3) .

아동이 알고 있는 것은 거의 언제나 아동에게 생생한 의미를 지니는 (4)

진실된 앎이며 이 앎은 그의 말과 사고와 행동에 그대로 반영된다, . 아동이 다른 것에 관심을 빼앗기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특정한

(5) ,

활동에 대한 아동의 흥미는 사라지지 않고 지속된다.

아동은 성인의 축소판이 아니며 그 나름대로의 인식과 사고체계를 갖추

고 능동적으로 학습하는 주체이다 아동은 흥미를 가지고 놀이에 참여함으. 로써 세계를 통합적으로 탐색하며 능동적으로 학습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 동의 진정한 배움은 신체활동을 동반하고 그 결과도 신체활동으로 반영될

수밖에 없다 아동발달은 대체로 생물학적 발달 인지적 발달 사회 정서적 . , , · 발달의 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데 정옥분( , 2002), 초등학생의 특성을 신체 적 발달 인지적 발달 정서적 발달로 나누어 살펴보고 신체활동이 아동의 , , 학습에 요긴한 이유를 알아보고자 한다.

첫 번째로 아동기는 신체적으로 신장과 체중의 변화가 급격해지는 시 ,

기이다 또한 아동기는 기존의 운동능력이 더 빠르고 정교하게 발달하. , 여 유아기에 비해 세밀하고 유연한 운동능력과 높은 협응력을 발달시킨 다 이대식 등( , 2010). 20세기 후반부터 체육교육계는 체육교육 프로그 램에서 다양한 움직임 양상을 가르쳐 아동이 움직임 기술을 연습하고 여 러 종류의 신체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NASPE, 1995;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

여기서 강조되는 움직임 기술은 기본움직임기술(Fundamental 이하 을 의미하며 이는 스포츠 또는 신체활동 참 Movement Skill, FMS)

여에 필요한 기본적인 움직임 패턴이다(Gallahue & Ozmun, 2006).

는 이동움직임 조작움직임 균형움직임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세한

FMS , ,

내용은 표 < 3>과 같다.

기본움직임기술 수정

< 3> (Griggs, 2015 )

에 따르면 초등학교 시기가 기본 움직임 단 Gallahue & Ozmun(2006)

계(Fundamental Movement Phase)와 정교화된 움직임 단계 이동운동기술

(Locomotor Skills)

정적균형기술 (Stability Skills)

조작운동기술 (Manipulative

Skills)

신체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 는 것

서 있거나 앉아서 균 형 있는 자세를 유지 하는 것

여러 신체 부위로 물 체를 조작 제어하는 , 것

종류

걷기, 달리기, 점프, 호핑 스키핑 갤로핑, , , 슬라이딩 리핑 클라, , 이밍

균형잡기 굽히기 뻗, , 기 착지 비틀기 돌, , , 기 흔들기 구르기, ,

던지기, 받기, 차기, 트래핑하기 치기 발, , 리 튀기기 굴리기 , ,

로 발달에 결정적이라고 주장한다 (Specialized Movement Phase) FMS . 아동의 신체적 발달과 움직임 경험은 움직임 패턴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만약 어린 나이에 FMS 부족이 지속되면 아동은 평생 동 안 움직임 기술 수행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Ulrich, 2000). 그러므 로 결정적 시기에 있는 초등 아동이 신체활동 수행방법으로서 FMS를 익힐 수 있도록 다양한 신체활동을 학습과정에 걸쳐 경험하도록 하는 것 이 중요한다. FMS는 체력수준을 높이고 신체활동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지적 정의적 기술 습득을 가능하게 한다는 , , 점에서 교육되어야 한다(Barnett et al., 2009; Tsangaridou, 2012).

신체적 성장과 운동기능의 발달과 더불어 아동기는 뇌가 활발히 분화하

고 성장하는 시기이다 뇌의 무게는 시냅스 생성과정으로 인해 출생 시에 . 비해 10-20세 사이에 거의 배로 무거워진다 박창호 등4 ( , 2011). 특히, 세 사이 아동의 전두엽은 뉴런이 새로운 시냅스를 수없이 생성하고 11-12

가지치기를 통해 사라지는 과정을 반복한 후 많이 사용되고 강화를 받는 연결망만 남으며 뇌가 재조직되고 정교화 된다(Giedd et al., 1999: 박창 호 등, 2011에서 재인용 이에 신체활동은 뇌 발달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

아동기 학생에게 다양한 자극을 주어 뇌 발달을 위한 풍요로운 환경을 제 공할 수 있다 오랜 기간의 운동학습 연구는 아동이 신체 성장 및 성숙. , 운동 기능 신체활동 심리적 요소 등의 면에서 성인의 미니어처가 아니, , 라고 입증한다(Thomas & Thomas, 2008). 그러므로 아동 고유의 신체 적 발달을 고려하여 교육활동을 설계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 아동의 인지발달은 아동에 대한 최초의 심리학 연구라고 할 ,

수 있는 Jean Piaget(1896~1980)의 인지발달이론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당시 아동을 성인의 축소 버전 으로 취급한 서양 사회에 “ ” Piaget의 인지 발달이론은 성인의 마음과 질적으로 상이한 아동의 마음을 인정하는 새로 운 아동관을 제시한다. Piaget는 아동이 다음 표 < 4>의 네 가지 질적으로 상이한 발달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마다 특유한 인지구조로 이루어지는 마음을 소유하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엄태동( , 2004).

의 인지발달단계 신명희 등 보완

< 4> Piaget ( , 2010 )

대부분의 초등아동은 구체적 조작기에 있으며 고학년 아동은 형식적 조

작기 단계에 접어들기 시작한다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은 실제로 만질 . 수 있는 물체에 대해서만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체적. 인 물체 사건 경험을 활용하여 학습을 구성해나갈 필요가 있으며 이는 , , 손을 활용한 조작 활동부터 전신을 동원하는 신체 활동까지 다섯 가지 감각을 수반하는 다양한 종류의 움직임을 포함한다 형식적 조작기에 도. 달한 아동들은 구체적인 대상이 없이도 추상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하. 지만 형식적 조작기의 아동을 위해서도 논리적 추론에 앞서 흥미와 깊, 은 이해 그리고 실생활과의 연관성을 위해 구체물을 활용한 체험 활동, 은 교육에 활용되어야 한다 게다가. ,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에 따르면 아동은 사회적 존재로서 주변의 사회 문화적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 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한다 초등아동은 능동적 학습자이며 나름의 방식. 대로 사물을 인지하고 이해한다 이러한 아동의 인지 발달 면을 고려하. 여 구체적 사물 상황 환경 속에서 조작 및 신체활동을 통해 학습할 수 , , 있도록 하는 배려가 요구된다.

단계 연령 주요 특성

감각운동기 출생 세~2

! 감각운동적 도식 발달

! 반사행동에서 목적을 가진 행동으로 발전

! 대상영속성 습득 전조작기 2~7세

! 언어와 상징과 같은 표상적 사고능력의 발달

! 직관적 사고와 중심화 비가역석,

! 물활론적 사고와 자아중심성 구체적 조작기 7~11세

!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논리적 사고 발달

! 가역적 보존 유목화 서열화 개념 습득, , , ,

! 탈중심화 사회지향성, 형식적 조작기 11세 이후

! 논리적으로 추상적인 문제 해결

! 가설연역적 추리 가능

! 명제적 사고와 조합적 추리 가능

세 번째로 학습의 관점에서 바라본 아동의 정서적 특성은 주의집중 시 ,

간이 짧고 기본적으로 다양한 학습 주제에 호기심과 흥미가 많다는 것이 다 먼저 아동의 부족한 집중력은 신경계의 발달로 설명할 수 있다 주의. , . 집중을 지속시키는 데 관여하는 뇌의 망상체와 전두엽이 사춘기가 되어야 수초화가 완료되기 때문에 유아기나 아동기의 주의 집중 시간이 청소년과 성인에 비해 짧다(Shaffer, 2002). 아동의 짧은 주의집중력에 유의하여 한 가지의 정적인 활동을 오랫동안 지속하는 것보다 동적인 활동과 연계해서 다채로운 수업활동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아동은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세상을 끊임없이 탐구하는 존 ,

재이다. Whitehead, A. N. (1929)는 교육의 목적 에서 교육이 세 가『 』 지 리듬에 의해 주도된다고 설명한다 첫 번째로 낭만의 단계 는 무엇을 . , ‘ ’ 시작할 때 그 대상이나 내용에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탐색하는 단계로 초등교육이 이에 해당된다 두 번째로 자세하고 세밀한 학습이 진행되는 . , 정밀의 단계 는 중등교육 세 번째로 학습한 내용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 ’ , ,

일반화의 단계 는 고등교육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의 리듬의 아

‘ ’ .

이디어를 바탕으로 초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박종국(2008)은 낭만의 단 계에 해당하는 아동기의 고유의 발달 가치를 강조하며 아동의 삶과 교육 을 일치시키는 체험활동과 경험중심의 활동을 교육내용으로 하고 그들의 , 정신적 삶의 고유한 형태인 놀이 의 성격을 띤 학습을 교육방법으로 삼아“ ” 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의창과 전세명. (2011)은 초등체육을 낭만의 단계에 서 이루어내어야 한다고 이야기하며 낭만 로맨스 이 학습자의 심리적 상“ ( )”

태를 나타내는 용어로 자신이 배울 내용에 대한 진정한 관심이고 좋아함“ ” 의 정서적 마음가짐이라고 설명한다. 8-13세의 초등학생은 호기심과 흥미 가 가득한 시기이며 그들의 학습과의 로맨스와 열정은 앞으로의 학습에 자양분이 될 것이다 따라서 아동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는 . 경험 체험 놀이를 통한 학습 신체활동을 통한 탐구 등의 교육활동을 적, , , 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아동의 발달특성을 신체 인지 정서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아동의 학습

, ,

과 신체활동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 신체활동을 초등교육과정의 내용 방법 매체로서 활용하는 교육이론을 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