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신규사업 및 평균사업규모와 일치율

있지만, 개별 부서에서 정보화사업을 추진할 경우 해당 사업에 대한 주 인의식과 책임감이 강하게 발생해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할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청과 지원조직에서 추진되는 정보화사업의 경우 해당 사업 이 개별 사업부서에서 추진하는 경우보다 정보화담당관실에서 추진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일치율이 높게 나타난다. 청과 지원조직은 해당 조직에 서 추진하는 정보화사업이 많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이 정보화담당관실에 서 추진되고 있으며, 그 결과 사업부서에 비해서 정보화담당관실의 전문 성이 높다. 따라서 정보화 기회에서 예산확보에 이르는 전 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일치율이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 할 수 있다.

의 예산은 734억 원이다. 신규사업 1개당 평균 예산은 18.2억으로 계속 사업의 평균 예산(1개당 평균 41.1억원)의 44%에 해당한다.

구 분 2011 시행계획 2012 시행계획

합계 계속 신규 합계 계속 신규

사업수(개) 559 508 51 677 634 43

전년대비(개) -25 -10 -15 118 126 -8 전년대비(%) -4.3 -1.9 -22.7 21.1 24.8 -15.7 소요예산(억원) 21,562 20,573 989 27,197 26,463 734 전년대비(억원) 779 2,253 -1,474 5,635 5,890 -255 전년대비(%) 3.7 12.3 -59.8 26.1 28.6 -25.8

※ 출처: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2011, 2012 국가정보화 시행계획」

[표 4-17] 연도별 국가정보화 신규사업 및 계속사업 현황

2011-2012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을 제출한 41개 중앙행정기관별로 각 기관의 전체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상 사업의 수에서 차지하는 신규사 업 수의 비율(신규사업 비율)은 평균 6.9%이지만 기관에 따라 크게 차 이가 나타난다. O08·O15·O19와 같은 기관의 신규사업 비율은 0%이 지만, O04는 10%이상, O05과 O21은 20%이상의 신규사업 비율을 보 이기도 한다.

신규사업 비율과 계획-예산 일치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양자의 상관계수 ρ=-0.09이고 p-value=0.58로 양자의 상관관계는 거의 존 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신규사업 비율을 기준으로 41개 기관을 신규사업 비율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별 계

획-예산 일치율의 평균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하위그룹의 계획-예산 일치율 평균이 77.0%로 상위그룹 평균인 70.2%보다 높게 나타난다. 그 룹간 계획-예산 일치율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분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평균차이에 대한 t값이 1.47이고, p-value가 0.07로 나와서 신규사업 비율 그룹간 계획-예산 일치율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다.

신규사업 비율

계획-예산

일치율(%) 신규사업 비율과 계획-예산 일치율 비교 하위 그룹 76.96

7 6 .9 6

7 0 .2 3

하 위 그 룹 상 위 그 룹 '1 1 -'1 2 계 획-예 산 일 치 율

상위 그룹 70.23

전체 73.51

t-Test 결과

t= 1.47

Pr(T>t)= 0.07

[표 4-18] 41개 중앙행정기관의 신규사업 비율과 계획과 예산 연계 수준

심층인터뷰를 실시한 38개의 2013년 국가정보화사업의 경우 신규사 업은 3개이고, 나머지 35개 사업은 계속사업이다. 3개의 신규사업의 경 우 계획-예산 일치율은 평균 77.7%이고 소요-요구 일치율 평균은 83.7%, 요구-확보 일치율은 평균은 92.5%로 나타났다. 35개의 유지·

보수사업의 경우 계획-예산 일치율은 평균 74.9%이고 소요-요구 일치 율 평균은 81%, 요구-확보 일치율 평균은 91.9%이다. 일반적으로 신 규사업의 경우 예산확보가 어렵다는 말이 있는 것과 달리, 심층 인터뷰 결과 신규사업의 경우 계속 사업과 유지·보수사업에 비해 일치율이 높

게 나타난다. 그 이유는 조사 대상에 포함된 신규사업 담당자들은 신규 사업의 경우 예산확보가 어렵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알고 새로운 신규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오랜 기간 꼼꼼하게 준비를 했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신규사업의 경우 계획-예산 일치율이 높게 나타나지만,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다. 신규사업 수가 3개에 불과하 기 때문에 비모수적 검정(non-parametric test) 방식인 윌콕슨 순위합 검정(Wilcoxon rank sum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검정통계량 z=0.19이고 p-value=0.43으로 양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

신규사업 여부

38개 정보화사업의 일치율 계획-예산

일치율(%)

소요-요구 일치율(%)

요구-확보 일치율(%)

신규 77.7 83.7 92.5

유지·보수 74.9 81.0 91.9

전체 75.1 81.2 92.0

Wilcoxon rank sum test

z= -0.19 Pr(Z<z)= 0.43

z= -0.27 Pr(Z<z)= 0.39

z= 0.00

Pr(Z<z)= 0.50

그래프 분석

7 7 7 8

계 속 사 업 신 규 사 업 '13 계 획-예 산 일 치 율

8 1 8 4

계 속 사 업 신 규 사 업 '13 소 요-요 구 일 치 율

9 4 9 3

계 속 사 업 신 규 사 업 '13 요 구-확 보 일 치 율

[표 4-19] 38개 정보화사업의 신규사업 여부에 따른 계획과 예산 일치율

2) 정보화사업 평균규모와 일치율

정보화사업의 평균규모는 각 기관별로 정보화사업 1단위당 평균 정보 화 예산액의 크기(이하, 정보화사업 평균규모)로 측정할 수 있다.33) 2011-2012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을 제출한 41개 중앙행정기관별 정 보화사업 평균규모는 4,115백만 원이지만 기관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 타난다. O17·O19와 같은 기관의 정보화사업 평균규모는 1,000백만 원 미만이지만 O06·O20와 같은 기관의 정보화사업 평균규모는 10,000백만 원 이상이다.

분석 결과 정보화사업 평균규모가 클수록 계획-예산 일치율은 높게 나타난다. 각 기관별 정보화사업의 평균규모와 계획-예산 일치율의 상 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양자의 상관계수 ρ=0.19이고 p-value=0.09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기관별 정보화사업 평균규모를 기준으로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으로 구 분하여 계획-예산 일치율의 평균 차이를 분석한다. 분석 대상 41개 기 관의 정보화사업 1단위당 예산액의 크기의 중앙값(median)을 기준으로 상위그룹(21개)과 하위그룹(20개)으로 구분한다. 분석결과 정보화사업 평균규모 상위그룹의 일치율 평균은 75.5%이고, 하위그룹의 일치율 평 균은 71.0%이다. 앞서 상관계수 분석과 마찬가지로 정보화사업 평균규 모가 큰 그룹의 계획-예산 일치율이 더 높다. 이와 같은 그룹간 평균차 이의 유의미성을 분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평균차이의 t값이

–1.05이고 p-value는 0.15로 나타난다. 따라서 유의수준 20%(α

33) 심층인터뷰 과정에서 각 사업담당자는 정보화사업에 대한 예산의 금액을 밝히 는 것을 상당히 기피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일치율은 계획소요액 을 100%라고 가정했을 때 예산요구액과 예산확보액의 상대적 비율을 얻어서 계 산되었다. 따라서 심층인터뷰 결과를 통해 사업의 평균 규모를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41개 기관에 대한 분석만 진행한다.

=0.20) 수준에서 그룹간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보완적으로 정보화사업 평균규모와 조직형태를 동시에 고려하여 일치 율 차이를 분석해 본다. 분석결과 조직형태에 관계없이 부·청·지원조 직 모두 정보화사업 평균규모가 큰 경우 계획-예산 일치율도 높은 것으 로 나타난다. 즉, 정보화사업 평균규모와 조직형태 사이에 교호작용은 나타나지 않는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화사업의 평균규모에 대한 F값이 1.70이고 p-value는 0.19로 유의 수준 20%(α=0.20) 수준에서 그룹간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 다고 볼 수 있다.

구 분 사업 평균규모

소계 평균차이의 유의성 검정

작음 큼

부 66.11 75.26 71.9 분산분석 결과

조직유형 F= 0.49 , Porb (F>F)= 0.61

평균규모 F= 1.70, Porb (F>F)= 0.19

교호작용 F= 0.30 , Porb (F>F)= 0.74 청 73.09 75.04 74.1

지원 72.66 82.72 75.2

소계 71.04 75.87 73.5 t-test 결과

t= -1.05 , Pr(T<t) = 0.15

[표 4-20] 정보화사업 평균규모와 조직형태와 계획과 예산 일치율

71 .0 4

7 5.8 7

평 균 규 모 작 음 평 균 규 모 큼 평 균 규 모 별 일 치 율

66 .1 17 5 .2 6 7 3 .097 5 .0 4 7 2 .6 68 2 .7 2

지 원

조 직 형 태 와 사 업 평 균 규 모 별 일 치 율 평 균 규 모 작 음 평 균 규 모 큼

[그림 4-4] 정보화사업 평균규모와 조직형태와 계획과 예산 일치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