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47개 중앙행정기관이 추진하고 있는 정보화사업은 모두 677 개이다. 따라서 모든 정보화사업 담당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심층인터뷰를 시행할 기관을 선별하 고, 그 기관 내에서 국가정보화 사업 담당자를 인터뷰하는 방식을 사용 한다.
2012년에 작성하는 「2013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이 공개되지 않 은 상황이기 때문에 확률표본추출을 시행할 수 있는 표본 프레임 (sample frame)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비확률표본추출방법인 할 당표본추출법(quota sampling)과 누적표본추출법(snowball sampling) 을 결합하여 다음 [표 3-2]와 같이 심층 인터뷰 대상 사업을 선정한다.
1차적으로 할당표본추출법을 통해 사업을 시행하는 기관을 선정하여 대 상 기관의 대표성을 확보하고, 2차적으로 선정된 기관의 정보화사업 담 당자에 대한 누적표본추출법을 통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한다.
자료수집 단계 자료수집 방식
1차: 대상 기관 선정 (할당표본추출)
- 범주(category) 결정: 조직유형과 정보화사업예산 비율을 기준으로 41개 기관을 범주화
- 할당표 작성
- 표본 선정: 최종 표본 선정은 조사자의 임의전성 방식으로 되기 때문에 대표성에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각 cell에 포 함되는 조직 중에서 계획대비 예산 일치율이 가장 높은 조 직과 가장 낮은 조직을 선정함
2차: 대상 사업 선정 (누적표본추출)
- 표본 프레임이 없기 때문에 정보화사업 담당자를 직접 소개 받아 심층 인터뷰를 실시함
- 조사 대상 기관의 정보화담당관실 정보화계획 담당자를 만 나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 담당자의 소개를 받아 각 사업부 서의 정보화사업 담당자를 인터뷰함
[표 3-2] 심층인터뷰 대상 사업 선정 방식
할당표본추출은 판단표본추출(judgement sampling)의 변형이다. 할 당표본추출은 층화표본추출과 같이 모집단을 몇 개의 집단으로 나누고, 이 집단에 할당된 수 만큼의 표본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마지막 단계의 표본추출이 연구자의 자의적인 판단이 개입된다는 점에서 무작위 추출을 하는 층화표본추출과 구별된다. 심층 인터뷰를 시행할 조직의 선 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별 자료 분석 대상인 41개 중앙행정 기관을 부(部), 청(廳), 위원회(委員會), 실·처(室·處)의 4가지 그룹으 로 구분한다. 심층 인터뷰를 시행할 목표 기관수를 12개(전체 30%)로 설정하고 부, 청, 위원회, 처·실 유형별로 각각 4개, 4개, 2개, 2개 기 관을 할당(quota)한다. 둘째, 각 그룹 내에서 가장 비교할 필요성이 높 은 기관을 선정한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각 부처의 2011~2012년 계 획-예산 일치율의 평균이다. 이 비율이 가장 높은 기관과 가장 낮은 기 관을 각각 선정한다. 단, 부와 청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관의 숫자가 많 기 때문에 이들을 다시 전체 예산 대비 정보화사업 예산의 비율을 기준 으로 하위그룹(sub group)을 구분한다. 이 과정을 거쳐 선정된 12개 심층 인터뷰 대상 기관은 다음 [표 3-3]과 같이 O6, O15, O8, O11 (이상 4개 부), O29, O36, O34, O24(이상 4개 청), O41, O39(이상 2개 위원회), O17, O16(이상 2개 실·처)이다.
12개 대상 기관 선정이 완료되면 각 기관 정보화담당관실의 정보화계 획 담당자를 만나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 담당자로부터 소개를 받아 사 업 부서의 개별 정보화사업 담당자를 심층인터뷰한다. 심층인터뷰의 목 적은 사람들이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발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 터뷰 과정에서 연구자 자신의 반응을 통제해야 한다. 인터뷰 대상자가 연구자 태도에 반응을 보여 편향된 진술을 하지 않도록 연구자는 인터뷰 대상자가 안락함과 안정감을 느끼고 그들의 견해를 공개적으로 말할 수
있도록 인터뷰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구 분
계획-예산 일치율 평균1) 고(高) ←――――――――→ 저(低)
조 직 형 태
부
정보화 예산 비율2)
고(高) O6 O13 O7 O2 O4 O12 O3 O15
저(低) O8 O9 O1 O14 O5 O10 O11
청
정보화 예산 비율2)
고(高) O29 O30 O26 O32O O21 O23 O22
20 O36
저(低) O34 O27 O35 O31 O33 O25 O24
위원회 O41 O40 O37 O38 O39 실·처 O17 O19 O18 O16
※ 1) 정보화사업 계획소요액 대비 예산확보액 비율의 2011년, 2012년 평균 2) 2012년 각 부처의 예산에서 차지하는 정보화 예산 비율
[표 3-3] 심층인터뷰 대상 기관 선정 결과
이러한 인터뷰 환경 조성은 연구자의 숙련도가 결정하기 때문에(남궁 근, 2011: 601), 실제 인터뷰 실시 이전에 일반 재정사업의 예산 확보 경험이 있는 정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3회의 모의 인터뷰를 실시한다. 실 제 인터뷰 대상자에게는 사전에 인터뷰 질문지를 송부하고, 1:1 대면방 식으로 30분에서 1시간 정도 인터뷰를 진행한다. 인터뷰 시작 전에 예 상 소요 시간과 논문에는 담당자의 실명과 조직 명칭이 공개되지 않는 다는 것을 밝힌다. 그리고 인터뷰 내용의 음석녹음에 대한 동의를 구하 고, 인터뷰 대상자가 녹음을 거부한 경우에는 구술 내용을 현장에서 서 면으로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