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론의 전개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y theory)은 교환이론(exchange theory)에서 출발한다. 교환이론에 따르면 개별 조직은 생존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조직과 자발적인 교환을 한다(Homans, 1974; Huesnann and Levinger, 1976; Huston and Cate, 1979; Sprecher and Schwartz, 1994: Levin and With, 1961:
최성재·남기민, 2000: 147). 자원의존이론은 교환이론을 발전시켜 개 별 조직은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외부 지원 기관으로부터 조직의 운영 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서 각 조직이 보유한 자원의 종 류와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조직간 상호작용(interaction)이 균형 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본다. 따라서 각 조직은 필요한 자원 획득 과정에서 보다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행동한다 (Hagedoorn, 1993; Eisenhardt & Schoonhover, 1996; Achrol, 1997; 이춘우, 2004; 이장호, 2006). 각 조직은 다른 조직에 대한 의 존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다른 조직의 자신의 조직에 대한 의존을 최대화 는 방향으로 조직의 내·외부 환경을 창조한다(Pfeffer and Salancik,
1978; Barney, 1991).
이와 같이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의 구조와 활동이 환경적 요인에 영향 을 받는다는 개방 체계(open system)의 조직관을 바탕으로 한다(정진 경, 2002). 제도(institution)적 관점에서 조직은 규범·가치·신념 등의 제도에 적응해 나가는 유기체이고, 상황(contingency)적 관점에서 본다 면 조직은 합리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황적 조건에 맞게 구조와 기능을 변경하는 능동적 주체이다. 조직군 생태(population ecology)의 관점은 어떤 환경 조건에서 특정 형태의 조직들이 출현할 가능성이 높은 지, 어떤 환경적 제약들이 이러한 조직형태의 생존가능성을 제약하는지 등에 관심을 둔다.
자원의존이론에서 대상으로 하는 자원은 인적·물적·무형적 자원을 모두 의미한다(Pfeffer and Salancik, 1978). 그러나 중요한 자원이 무 엇인지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자원의존이론의 초창 기에는 조직 경쟁력의 원천을 조직 내부에서 주로 찾고 요소시장에서의 자원 획득방법과 조직 내부에서의 자원 개발방법에 주안점을 두었지만, 최근에는 조직이 필요한 자원을 내부적으로 모두 충당한다는 것에 한계 를 느끼고 외부 자원을 동원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중요하게 고려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Barney(1991)는 조직의 자원을 물리적 자산, 인적 자산, 조직 자산으로 구분하였고, Grant(1991)는 자원을 조직이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한 전략을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유형 또는 무형의 자산(tangible and intangible asset)으로 정의한다. 결국 자원이란 경 제학에서 전통적으로 다루어 왔던 토지·노동·자본과 같은 물적 자원 과, 부존자원을 포함하여 가시적·감각적·유형적 자원과 비가시적·비 감각적·무형적 자원, 조직능력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Wernerfelt, 1984).
자원이 갖는 중요한 속성은 특수성과 상호보완성이다. 먼저 조직에 따 라 소유하고 있는 자원이 이질적인 상황에서 조직이 경쟁우위를 획득하 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직 특유의 자원이 수행하는 역할이 중요하다.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하기 위하여 그 조직만이 가진 가치 있고, 독 특하며, 희소하며, 경쟁자들이 모방하기 어렵고, 대체 불가능한 자원을 보유해야 성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Nelson & Winter, 1982). 다음 으로 조직의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자원은 반드시 해당 조직 내부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타 조직과의 제휴를 통해서도 부족한 자원을 보 충하는 조직간 상호보완성이 존재한다. 불확실한 상황에서 해당 조직의 전략적 위치를 강화하기 위하여 타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과의 결합 을 시도하게 된다(Hagedoorn, 1993; Achrol, 1997). 자원의 특수성과 상호보완성은 시간상으로 동시에 발생되며, 순환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조직은 생존과 운영에 필요한 특수한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타 조직과 동적인(dynamic) 협력관계를 맺으며, 상호보완적인 자원은 경쟁자들이 모방할 수 없을 정도로 특유한 자원으로 형성되어야만 경쟁 우위를 차지 할 수 있다. 자원의 보완성이 높을수록 투자가 몰리게 되어 특유자원이 개발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정리하면, 특유 자원을 창출하고자 조직 간 자원을 보완하게 되며, 다시 상호보완적 자원은 특유자원을 형성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2) 조직의 전략
자원의존이론은 조직이 환경의존성과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 극적으로는 조직의 목표, 구조 및 운영방식 등을 환경의 기준과 기대에 맞추는 노력을 하고, 적극적으로는 조직이 원하는 환경을 만들어내기 위 해 조직이 환경에 대한 의존성의 본질을 변화시켜 환경을 조작하는 활동
을 한다.22) 조직은 환경에 수동적으로 반응(react)하는 것에 그치지 않 고 능동적으로 환경을 만들어 가는(enact) 것이기 때문에 조직관리자의 적극적인 전략과 역할이 중요하다(Pfeffer and Salancik, 1978). 조직 관리자들은 환경으로부터 조직의 생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원들 (재원, 인력, 기술, 지식 등)을 획득하고, 조직의 구조를 변경하고, 조직 의 생존에 가장 좋은 환경을 찾아 움직일 수도 있다. Pfeffer and Salancik(1978)은 조직의 환경의존성을 변화시키는 구체적인 전략으로 차별화 전략과 다원화 전략을 제시한다.
첫째, 조직구조 차별화(differentiation) 전략은 조직 내의 하위단위간 의 업무를 차별화하여 상호의존성을 낮추는 것이다. 조직의 각 하위단위 간의 업무 연관성이 낮아지면 하나의 하위단위가 직면하는 환경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다른 하위단위의 환경대응 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든 다. 이 경우 조직 전반의 환경의존성은 줄어들지 않으나, 의존성의 양태 와 조직의 의존성 관리가 가능한 형태로 바뀌기 때문에 전체 조직은 안 정화된다.
둘째, 조직활동 다원화(diversification) 전략은 조직이 다양한 활동에 개입함으로써 전체적인 환경의 요구를 증가시키되, 각각의 환경적 요구 에 대한 의존을 낮추는 것이다. 조직은 주도적으로 자원 확보 경로를 다 원화하여 독립성과 위기 대응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Chang and Tuckman, 1991). 조직은 필요에 따라 선별적으로 환경의 요구에 대응 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환경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그 결과로
22) 동일한 맥락에서 황성철 외(2005: 85)는 조직 관리자가 환경적 영향 속에서 조직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완충전략과 연계전략을 형성한다고 본다. 완충전략은 조직이 환경적 혼란에서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조직 내의 구조와 주요절차를 정 비하는 것이고, 연계전략은 조직이 필요한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다른 조직들과 협력 및 공조관계를 형성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안정적인 자원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이 외에도 민간기업의 경우 이사회를 구성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조 직에 필요한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Pfeffer and Salancik, 1978). 이 사회는 외부환경과의 연결을 하는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정보와 전문 능력과 같은 자원이 기업에 공급될 수 있고, 기업에 중요한 의사소통 채 널이 구성되고, 외부 행위자로부터 지지를 얻고 정당성을 확립할 수 있 다. 그 결과 기업의 이사는 외부환경과의 연계를 통해 기업의 성공과 생 존을 위해 불확실성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Thompson, 1967), 기업이 충분한 권한을 갖도록 하고(Pfeffer and Salancik, 1978), 궁극적으로 기업의 생존가능성을 증가시킨다(Singh et al., 1986).
3) 상호의존적 관계에서 재원(financial resource)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직이 외부의 재원 지원기관(financial stakeholder)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공적으로 재원을 확보하는 것은 조직의 목표달성에 필수적이다.
외부의 재원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확보하는지에 따라 조직의 생존과 운 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자원의존이론의 관점에서 본다면 조직이 외부환경에 대한 의존성이 높을수록 외부환경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재원 확보에 불리한 입장에 놓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조직간 의존 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부적 환경과 조직의 내부적 특성이지만, 조 직이 상호 경쟁하는 외부적 환경은 그 영역에 존재하는 조직들에게 공통 적으로 적용되는 요소이다. 따라서 각 조직의 고유한 특징이 재원 확보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조직간 상호의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의 연령, 크기, 그리고 전문성이다(Stinchombe, 1965).
먼저 조직의 연령이 낮을수록 내부적으로 보유할 자원의 축적기간이
짧아서 외부로부터 재원을 확보해야 하는 의존성이 높다. 조직생태론 (organizational ecology theory)에 의하면 조직의 나이가 젊을수록 오 래된 조직보다 자체 수입원을 개발할 수 있는 기간이 짧고 새로운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자원들(지식, 전문성, 경험, 기타 여유자원)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환경의 적응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이 젊은 조직이 처한 상황은 신생성의 멍에(liability of newness)로 불리어진다(Stinchombe, 1965; 권기헌·정광호, 2002).
이와 달리 조직의 연령이 높으면 외부환경의 불확실성에 대한 준비도 상 대적으로 잘 되어 있고, 자원 획득체계가 안정화되어 있고, 자원이 상대 적으로 풍부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대한 의존성이 낮다. 결과적으로 조직의 연령이 낮은 경우 상대적으로 자원이 부족하고 환경의 불확실성 에 대응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외부의 의존성을 높여 재원의 수용 에 적극적이다(Stinchombe, 1965; Macpherson and Holt, 2007).
다음으로 조직의 크기는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양을 간접적으 로 보여준다. 조직 내부의 인적자산, 사회적 자산, 조직의 시스템, 지식 네트워크 등은 조직의 규모를 결정하고, 이러한 규모가 조직의 생존률과 기회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조직의 크기가 외부의 환경에 반응하는 경 로는 크게 두 가지 대립된 이론들이 있다. 구조적 무기력이론 (structural inertia theory)의 관점에서 본다면 조직의 규모가 클수록 조직이 관료화되고 새로운 환경에 대응하여 충분한 재원을 확보할 수 있 는 대응 능력이 떨어진다(Hannan and Freeman, 1984). 반면 여유자 원이론(slack resource theory)은 조직크기가 큰 조직일수록 재원 조 달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더 많은 재원을 가질 것임을 강조한다(Ouchi, 1977). 따라서 조직의 규모가 클수록 재원조달 능력이 뛰어나고 외부의 환경변화에 더 잘 적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