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정보화사업 추진주체와 일치율

이상의 분석을 종합하면 41개 기관을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 상위계획 반영비율이 높은 경우 계획-예산 일치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마찬 가지로 38개 정보화사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상위계획을 반영하는 경우 계획-예산 일치율은 낮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상위계획 반영비율과 조직형태를 동시에 적용한 경우에도 분석 결과는 유사하게 나타난다. 부와 청은 상위계획 반영비율이 낮은 경우 계획-예 산 일치율이 높고, 지원조직은 상위계획반영비율이 높을수록 계획-예산 일치율이 높다. 그러나 부와 지원조직의 평균차이는 크지 않고, 청의 경 우 큰 폭의 평균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위계획반영비율 과 계획-예산 일치율의 음(-)의 상관관계는 청 조직에 의해서 발생하 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구 분 계획-예산 일치율 평균

소요-요구 일치율 평균

요구-확보 일치율 평균 사업추

진 주체

정보화담당실 76 83 91

개별부서 74 79 93

소계 75 81 92

t-Test

t= 0.33 Pr(T>t)=

0.37

t= 0.67 Pr(T>t)=

0.25

t= -0.63 Pr(T<t)=

0.27 [표 4-14] 정보화사업 추진추체와 일치율 현황(심층인터뷰 대상 사업)

76 83 91

7 4 79

9 3

계 획-예 산 일 치 율 소 요-요 구 일 치 율 요 구-확 보 일 치 율

정 보 화 담 당 관 실 개 별 부 서

[그림 4-3] 정보화사업 추진추체와 일치율 현황(심층인터뷰 대상 사업)

정보화담당관실에서 추진하는 사업의 경우 계획-예산 일치율과 소요 -요구 일치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와 달리 사업부서에서 추진하는 사 업의 경우 요구-확보 일치율 평균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난다. 정 보화담당관실의 경우 부처 내부의 정보화사업을 총괄 조정하면서 필요한 정보화사업을 추진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보화사업 추진에 신중을 기 할 수 있다. 그 결과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안) 작성시 보수적인 접근을 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달리 각 부서는 해당 사업의 필요성을 절실하기

때문에 시행계획(안) 작성과 기획재정부 예산심의 과정에서 보다 적극적 인 자세로 설득을 하게 될 것이다. 사업추진 주체에 따른 소요-요구 일 치율과 요구-확보 일치율 사이의 관계는 [표 4-15]와 같다. 전반적으 로 각 추진 주체별로 소요-요구 일치율이 높은 사업은 요구-확보 일치 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추진

주체 구 분

요구-확보 일치율

상위그룹 하위그룹

정보화 담당관

실 (22개)

소요 - 요구 일치율

상위 그룹

O06P01 / O06P02 O17P01 / O17P02 O17P03 / O17P04 O29P01 / O29P02

O34P01 (9개)

O41P01 / O08P01 (2개)

하위 그룹

O16P02 / O24P01 (2개)

O08P02 / O08P03 O11P01 / O15P01 O16P01 / O24P02 O36P01 / O39P02

O39P01 (9개)

사업 부서 (16개)

소요 - 요구 일치율

상위 그룹

O06P03 / O06P04 O06P05 / O06P06 O06P07 / O08P06

(6개)

O08P04 / O08P07 (2개)

하위 그룹

O08P05 / O39P03 (2개)

O11P02 / O11P03 O15P02 / O15P03 O24P03 / O24P04

(6개)

[표 4-15] 사업추진 주체에 따른 일치율 상호간의 관계(심층인터뷰 대상 사업)

심층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화사업이 추진되는 조직형태와 개별 사업의 사업추진 주체별 일치율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 [표 4-16]과 같 다. 사업 건수를 기준으로 보면 부 형태 조직은 개별 사업부서에서 추진 되는 사업의 비율이 높고, 그 이외에 청과 지원조직은 정보화담당관실에 서 추진되는 사업의 비율이 높다.31)

구 분 정보화담당관실 사업부서

사업현황 (20개 사업)

O06P01 / O06P02 O08P01 / O08P02 O08P03 / O11P01

O15P01 (7개)

O06P03 / O06P04 O06P05 / O06P06 O06P07 / O08P04 O08P05 / O08P06 O08P07 / O11P02 O11P03 / O15P02 O15P03 (13개)

계획-예산일치율(평균) 소요-요구일치율(평균) 요구-확보일치율(평균)

73.6 80.4 90.8

78.4 82.4 94.2

사업현황 (12개 사업)

O17P01 / O17P02 O17P03 / O17P04 O24P01 / O24P02 O29P01 / O29P02 O34P01 / O36P01

(10개)

O24P03 / O24P04 (2개)

계획-예산일치율(평균) 소요-요구일치율(평균) 요구-확보일치율(평균)

80.5 84.9 94.1

54.0 64.5 83.7

지원

사업현황 (6개 사업)

O39P01 / O39P02 O16P01 / O16P02

O41P01 (5개)

O39P03 (1개)

계획-예산일치율(평균) 소요-요구일치율(평균) 요구-확보일치율(평균)

70.4 83.2 87.1

54.0 59.0 91.5

[표 4-16] 조직형태와 사업추진 주체별 일치율 현황(심층 인터뷰 대상 사업)

부에서 추진되는 정보화사업의 경우 해당 사업이 개별 사업부서에서 추진되는 경우가 정보화담당관실에서 추진되는 경우에 비해서 평균적으 로 계획-예산 일치율이 높게 나타난다. 그 이유는 다양하게 설명될 수 31) 이러한 결과는 심층인터뷰 대상 38개 사업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 중

앙정부 전체를 대상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있지만, 개별 부서에서 정보화사업을 추진할 경우 해당 사업에 대한 주 인의식과 책임감이 강하게 발생해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할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청과 지원조직에서 추진되는 정보화사업의 경우 해당 사업 이 개별 사업부서에서 추진하는 경우보다 정보화담당관실에서 추진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일치율이 높게 나타난다. 청과 지원조직은 해당 조직에 서 추진하는 정보화사업이 많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이 정보화담당관실에 서 추진되고 있으며, 그 결과 사업부서에 비해서 정보화담당관실의 전문 성이 높다. 따라서 정보화 기회에서 예산확보에 이르는 전 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일치율이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