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재가 요양보호사의 직업 선택과 노동조건
분류 금액
30분 이상 11,390원
60분 이상 17,490원
90분 이상 23,450원
120분 이상 29,610원
<표 3-2> 방문요양 급여비용(2016년 기준)
그리고 중고령 여성들이 이런 일자리에 진입하게 되는 이유는 여성의 생애주기와 관련된다. 임신과 출산으로 인해서 노동시장 참여의 단절을 경험하는 노동자는 낮은 수준의 기술 축적으로 인해 저임금 일자리에 취업할 가능성이 높다. 상위 일자리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은 여성 집단은 임신과 출산 기간에 지속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 한 여성으로 나타났다(민현주, 2008: 250).
결국 한국의 여성노동시장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여성노동시장 참여의 양적인 것만이 아니라 여성 고용자체가 여성 직종, 저숙련 직종, 저임금 직종, 그리고 불안 정 상태의 취업에 집중되어 질적으로도 열악하다는 것이다(김영옥 외, 2006: 30). 특 히 중고령 여성들이 취약한 상황이며, 이들이 임신과 출산, 자녀양육으로 노동시장 참여가 단절된 상태에서 재진입하게 되는 일자리가 저임금 일자리라는 것을 보여준 다.
150분 이상 33,650원
180분 이상 37,200원
210분 이상 40,470원
240분 이상 43,500원
각 재가 기관은 고정된 수가에서 기관의 운영비를 제외하고 요양보호사에게 지급 하는 임금을 결정한다. 정부에서 따로 임금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서 장기 요양기관간에 임금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불안정한 임금구조형태가 발생하고 있다 (이광재, 2010: 192).57) 연구참여자들의 임금은 기본급에 주휴수당, 연차수당 등을 추 가하여 계산되는데 시급은 대략 6,500원~7,500원이다. 여기에 처우개선비 625원이 추 가된다.58) 연구참여자들은 처우개선비를 포함하여 시간당 시급 7,625원을 받는 경우 가 가장 많았다. 2009년에 이루어진 조사에 따르면 그 당시 요양보호사의 시급은 6~7천원 정도였는데(제갈현숙, 2009a; 장우심, 2009), 현재와 비교하면 요양보호사 시 급의 인상이 크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지난 몇 년간의 물가상승률을 감안하 면 실질 임금은 감소했다.
노동시간은 장기요양기관과 돌봄수혜자와의 계약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요양보호 사가 돌봄수혜자 한 명에 대해서 하루 4시간씩 일하는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3시간 이하로 일하기도 했다. 그리고 한 명에게 최대 4시간 밖에 돌봄을 제공할 수 없어서 재가 요양보호사들이 전일제로 일을 하려면 최소 두 명의 수혜자를 돌보아야 가능하 다. 예를 들어 박혜자는 오전 7시부터 11시까지 4시간, 오후 12시부터 4시까지 4시 간 이렇게 8시간을 근무를 하고, 이수연은 오전 9시30분부터 1시30분까지 그리고 오 후 2시부터 6시까지 총 8시간 근무를 했다. 이렇게 두 수혜자를 돌볼 때 받는 임금 은 세금과 사회보험을 공제하고 110만원~130만원 수준이다. 금액의 차이는 기관에 따른 임금 차이도 있지만, 수혜자의 장기요양등급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시간도 다 르기 때문에 나타난다.59)
57) 제도 시행 전부터 요양보호사 등 장기요양종사노동자의 낮은 임금을 우려하여 정부에서 월급제 정규직 상시 고용을 규정하고 임금가이드라인을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루어졌 으나 여전히 도입되지 않고 있다(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 외, 2007).
58) 보건복지부는 2013년 3월부터 요양보호사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 및 유사직종과의 임금 격차 해소 등을 위해 요양보호사 처우개선비를 도입하였다. 비용은 시간당 625원으로, 월 최대 10만원 요양보호사 처우개선비를 지급한다.
3장 재가 요양보호사의 직업 선택과 노동조건
통계청의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전체 노동자 평균 월급여 총액은 2,753,757원으로, 요양보호사의 월급여액을 130만원으로 상정하고 비교하면 노동자 평균 임금의 1/2에도 미치지 못한다.60) 여성 노동자 평균 월급여액 2,091,743 과 비교해서도 60% 수준이다. 직종별로 분석하여 여성 서비스 종사자 월평균 급여액 1,724,582원와 비교했을 때는 88% 수준으로 다른 서비스 직종의 급여와 비교해서도 낮은 편이다. 연령별로 비교하더라도 여성 서비스 종사자 50~54세 월급여액 1,476,676원이나, 55~59세 월급여액 1,365,790원보다 낮은 임금이다. 여성 중고령 서 비스 산업 노동자와 비교해서도 요양보호사는 상대적으로 임금이 적다.
구분 성별 연령 월급여총액(원)
전직종
전체 전연령 2,753,757
남 전연령 3,122,474
여 전연령 2,091,743
서비스 종사자
전체 전연령 1,724,582
남
전연령 2,280,385
50~54 2,520,279 55~59 2,387,559
여
전연령 1,479,628
50~54 1,476,676 55~59 1,365,790
<표 3-3> 노동자 평균 월급여총액
자료: 통계청,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2014
59) 장기요양등급에 따라 재가급여 수가의 월 한도액이 나뉘는데 1등급은 1,196,900원, 2등급 1,054,300원, 3등급 981,100원, 4등급 921,700원, 5등급 784,100원이다. 예를 들어 1등급의 수혜자가 1회 4시간씩 방문요양서비스를 받는다면 4시간 급여비용이 43,500원이므로, 한 달에 27일 돌봄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등급이 낮아질수록 한도액이 낮으므로 한 달 동안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5등급은 치매특별등급으로 하루 2시간 사용 만 가능하고 노동시간이 짧은 만큼 요양보호사에게 수당이 더 가산된다.
60) 월평균 임금총액은 월평균급여액 + (연간특별급여/12)로 계산되는데, 심층면접에서는 요양 보호사 임금을 매달 지급받는 급여를 조사했기 때문에 월평균급여총액과 비교, 분석하였 다.
더 큰 문제는 요양보호사가 두 명의 돌봄수혜자를 돌볼 수 있도록 보장되기 어렵 다는 점이다.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노인을 2명 돌볼 때 최대 월급여액인 130만원 정 도를 받는 것도 어려운 것이다. 재가 요양보호사인 연구참여자 13명 중에서 장기요 양보호서비스를 4시간씩 2명에게 제공하여 8시간 전일제로 일하는 경우는 2명에 불 과했다. 이수연은 8시간 근무를 하는 요양보호사 중 한 명으로 그의 일정은 다음 그 림과 같다. 그는 아침 9시반부터 1시30분까지 4시간동안 1등급 노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30분 이동한 다음 2시부터 다시 3등급 노인에게 4시간 서비스를 제공했다.
1등급 수혜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장기요양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수가가 더 높 아서 토요일에도 그가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렇게 하루 4시간씩 두 명을 돌보지 않으면 임금이 100만원 이하로 낮아진다. 100만원 임금은 서비스 종사자 월급여액의 58%에 불과하다.
시간/요일 월 화 수 목 금 토
9:30~1:30 장기요양서비스: 1등급 남자 노인
1:30~2:00 이동
2:00~6:00 장기요양서비스: 3등급 여자 노인
<그림 3-8> 이수연 재가 요양보호사의 일정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만이 아니라 다른 돌봄서비스를 같이 제공하고 있는 재가 기 관에서는 장기요양서비스에 노인돌봄종합서비스, 가사·간병 방문 지원을 추가하여 일을 제공함으로써 임금수준을 어느 정도 보장해주었다. 예를 들어 서진은 주 5일 매일 4시간씩 방문하는 장기요양서비스 수혜자 1명, 한 달에 총 27시간 방문하는 노 인돌봄종합서비스 수혜자 3명, 한 달에 24시간 서비스 제공하는 가사·간병 1명, 총 5명을 돌아가면서 돌본다.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돌봄수혜자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 지 주 5일 아침 8시부터 12시로 정해져있고, 그 외의 시간에 노인돌봄과 가사·간병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기존에는 장기요양서비스가 8시30분부터 시작하여 그 이전 시 간을 원하는 노인돌봄대상자를 아침 5시 30분에 방문하기도 했다. 지금은 장기요양 서비스 대상자 노인이 서비스 시간을 8시로 앞당기기를 원하면서 다른 서비스를 재
3장 재가 요양보호사의 직업 선택과 노동조건
배치하였다. 오전 장기요양서비스와 오후 노인돌봄 사이에 이동시간이 짧아서 서진은 점심을 제대로 먹기도 어렵다. 노인돌봄서비스 대상자들은 모두 서진의 집 근처에 거 주하기 때문에 일을 들어가기 전 집에서 점심을 먹기도 하지만 빵으로 때우는 일도 많다. 이렇게 그가 오전 8시부터 6시 정도까지 한 달에 185시간 근무해서 받는 임금 은 130만원 정도이다.
시간/요일 월 화 수 목 금
8:00~12:00 장기요양서비스: 3등급 여자 노인
12:00~12:20 이동
12:20~3:20 노인돌봄 Ⅰ 노인돌봄 Ⅱ 노인돌봄 Ⅲ 노인돌봄 Ⅱ 노인돌봄 Ⅲ
3:20~3:30 이동 이동 이동
3:30~6:20 가사·간병 노인돌봄 Ⅰ 가사·간병
<그림 3-9> 서진 재가 요양보호사의 일정
임금과 관련된 또 다른 문제는 임금 인상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구조라 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최저임금이 오르는 것과 같이 요양보호사의 임금도 올라 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기관에 따라 임금 인상 유무는 차이가 있었다. 매년 최저임금 이 오르는 인상분만큼 요양보호사 임금이 오르는 기관도 있지만, 이현미가 다니는 기 관의 시급은 최저임금보다 좀 더 높기 때문에 매년 인상되지 않았다. 그렇다고 그의 임금이 다른 기관과 비교해서 많이 높은 것도 아니다.
근데 문제는 오르지 않는다는 게 문제죠. 매년 똑같다는 게 문제죠. 왜냐면 최저임 금이 올랐으면 당연히 올라야 되는 것 아니에요? 다만 10원이라도 올라야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이현미, 재가요양보호사)
매년 요양보호사 임금을 인상하려면 장기요양보험 수가가 해마다 인상되어야 하는 데 그렇지 않다. 2016년 수가는 2014년 7월 인상 이후로 변화가 없어 3년째 같은 수 가가 지급되고 있다. 재정적으로 안정된 기관은 수가가 인상되지 않아도 매년 임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