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국제입양과 차별적 보호체계
(1) 수령국 송출국간 아동보호 격차
송출국에서 수령국으로 일방적인 아동의 흐름을 보이는 국제입양 현 상은 양측의 아동보호 수준의 격차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유럽에서는 2차 대전이후 국제입양의 발생을 계기로 아동보호법제를 정비하고 강화 하였다. 아동보호가 강화되면 국제입양뿐 아니라, 아동의 입양 자체가 발 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입양이라는 조치는 아동 보호를 위한 여러 정책수단 중에 최후로 선택되는 것이기 때문에, 친부 모의 양육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 문제를 해결해 온 결과이다. 이후 사 회경제적인 격차가 심한 송출국과 수령국 간의 국제입양의 발생하고, 수 령국의 지위에 서게 된 유럽은 정반대의 조치를 취했다. 아동 수령을 수 월하게 하는 방향으로 자국의 법제를 변화시켰다. 송출국은 아동 송출을 허용하기 적합한 방향으로 법제를 변화시킨다. 양측 법제에는 사적인 중 개기관의 활동을 수월하게 하는 조치도 함께 포함된다. 모두 송출국 아 동의 보호 강화와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조치였다.
국제입양은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다. 송출국과 수령국 양측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선택과 특정한 입법 조치로 지탱되는 현상이다. 유럽국 가라고 모두 주요 수령국이 되는 선택을 하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영국
은 1970년이후 아동을 내보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요 수령국에도 포
함되지 않았다. 영국 국민들의 국제입양에 대한 수요가 특별히 낮은 것 이 아니다. 원인은 영국의 법제에서 찾을 수 있다. 영국의 이민법은 국제 입양 아동의 입국을 특별히 간소화하는 규정을 허용하지 않는다. 일련의 국제입양과 관련된 판례에서 영국 법원은 국제입양 아동이라고 할지라도 영국내 아동의 입양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시키도록 결정하였다. 영국내
예비 양부모에 대한 양부모 자격과 가정 조사도 영국내의 자격 있는 사 회복지 전문가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결정했다.222) 국제입양에 대 해 자국내 아동입양과 같은 수준의 아동보호 기준을 일관되게 적용하는 국가는 수령국이 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영국의 사례가 보여준다.
미국의 경우도 모든 주가 국제입양에 대해 완화된 기준과 수월한 절 차를 용인한 것은 아니었다.223) 이러한 법제의 차이가 미국 주별로 아동 의 국제입양이 규모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원인이라고 본다.224)
(2) 수령국 아동보호제도에 영향
국제입양은 송출국 아동의 보호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수 령국 역시 이러한 이중적 입양제도로 자국내 아동보호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수령국으로 대표적인 국가는 미국과 스웨덴이다. 미국은 숫 자로 압도적 1위이며, 스웨덴은 입양율, 즉 한해 자국 출생아동 수 대비 국제입양 아동수에 있어서는 1~2위를 지켜왔다. 양국 모두 국제입양에 대해서는 아동을 받아들이기에 수월한 법제를 적극적으로 채택했다. 국 제입양에 있어서는 입양적격 결정 등에 있어서 이중적인 기준을 적용한 다.225)
미국과 스웨덴 양국은 자국내에서 아동입양을 아동복지 수단으로 적 극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른 정책을 가지고 있다. 미국은 자국 내에
222) Selinski, J., Naughton, D., Flanagan, K., Fry, P. & Pickles, A., "Ensuring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in Intercountry Adoption Practice: Case Studies from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Child Welfare, vol.80 (2001), pp.656-667.
223) Carlson (1988), supra note 151.
224) 미 국무부 홈페이지 ‘국제입양 (Intercountry Adoption)’ 부문의 ‘통계(statistics)'란 에 미국 각 주별 아동입양 현황 참조.
<https://travel.state.gov/conent/adoptionsabroad/en/about-us/statistics.html>
2016.10.5. 최종방문.
225) Country Profile of Sweden for 1993 Hague Intercountry Adoption Convention, (2015).
<https://www.hcch.net/en/instruments/conventions/specialised-sections/intercountry-adopti on>, 헤이그국제사법회의 홈페이지 country profile 메뉴 참조, 2016.2.2. 최종방문.
스웨덴은 국제입양 아동의 입양적격 결정은 송출국의 결정을 그대로 인정한다.
서도 아동복지를 위해 입양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반면, 스웨덴은 아동 복지 체계가 전체적인 가족중심의 복지제도와 굳게 연결되어 있어서, 자 국 아동에 대해서는 입양적격 결정이 매우 엄격하다. 단순히 친부모가 원한다고 해서 아동이 입양대상이 될 수 없다. 친가족 양육과 보호를 위 한 각종 지원대책이 선행되고, 사회복지사의 강력한 개입이 지속된다. 북 유럽 국가들을 아동복리를 위해 가정에 대해 강하게 개입하는 정책을 가 지고 있다.226) 국내입양에 대한 사적 기관의 개입에 대해서도 다른 양상 을 보인다. 미국은 사적기관이 국제입양을 넘어 국내입양과 아동보호체 계까지 개입하는 반면, 스웨덴은 국제입양은 사적기관이 중개할 수 있으 나 국내 아동복지체계와 입양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미국의 국제입양에 대한 사적기관의 영향력은 국내 아동보호체계에 까지 미치고 있음을 이미 설명하였다. 스웨덴은 미국보다도 국내입양과 국제입양의 절차 사이의 격차가 더욱 크고, 이분화가 더욱 공고하다고 할 수 있다.227) 이러한 법제는 수령국과 송출국 양측에서 자국 아동권리 에 대해 부적절한 환경을 만들게 된다.
나. 국제사회의 공동대응 모색
앞서 살펴본 시장원리에 의한 국제입양은 수령국 송출국간 고아입양 법제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었다. 고아를 입양적격의 근거로 삼는 것은 아동의 신분세탁과 거짓 출생신고를 유발하였다. 국제 입양을 위한 아동의 신분세탁이 가능해 지는 것은 아동 매매와 trafficking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국제입양의 아동권리 침해 양상에 대해서 UN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의 공동대응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2차 대전 직후에는 유럽 내에서 아동의 국제입양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해 촉발된 전문가 논의가
226) Barth, R.P., "Child Welfare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and Sweden:
Different Assumptions, Laws and Outcomes", Scandinavi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1 (1992), pp.36-42.
227) Id.
아동보호제도가 확립되도록 이끄는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취약한 제3 세계에서 유발된 국제입양의 제2의 물결에 있어서는 해당 지역 내에서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 내기를 기대할 수 없었다.
1970년대부터 UN에서는 아동권리에 대한 협약을 성립시키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국제입양 관행이 유발하는 아동권 리 침해 양상은 이 워킹 그룹의 논의에 포함될 수밖에 없었다. 아동권리 협약 논의 과정에서 국제입양 관행과 법제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규범을 제시하게 된다. UN에서 아동 권리에 대한 논의의 과정에서 입양에 대한 원칙과 법리가 형성되어 갔다. 다음 장에서 UN을 중심으로 한 아동입양 에 대한 국제규범의 형성 과정과 그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동권리에 대한 UN 규범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으며, 아동의 권리 주체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본 법리인 아동 최선의 이익 원칙의 실체적 내용과 절차적 보장에 대해 논하도록 하겠다. 아동 최선의 이익 법리는 아동의 입양적격 결정과 이후 입양절차 전반에 걸쳐 적용되어야 하는 핵 심 원칙이므로, 입양과 관련성을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UN 인권규범은 전 세계적 최소 기준을 제시하는 특성 상, 사적 주체 가 관련된 아동입양에 있어서는 원칙적 내용만을 담을 수 밖에 없었다.
국제입양 현장에서 나타나는 복잡다단한 법률관계와 다양한 사건을 UN 규범으로 효과적으로 규율하는 한계가 나타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1986 아동보호선언과 1989 아동권리협약은 입양절차에 있어서 아동권 리 보호를 위한 주요 원칙을 확립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법리들은 이후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이 공유하는 근본적 원칙이 되었 으며, 유럽인권재판소 등의 판단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다음 장에서는 아동 입양에 대한 국제규범의 전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