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 중앙당국의 지정

헤이그협약의 성립 배경에는 아동 출신국 내에서 아동 송출을 위해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국제입양을 받아들였던 수령국의 기존 관행을 포기하겠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위해 헤이그국제 사법회의는 수령국 중앙당국은 송출국 중앙당국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 해 아동입양절차 전반에 걸쳐 당국간 협의와 협력을 진행하는 구조를 설 계하였다. 이러한 협약 의무 이행을 통해서 수령국 국내아동에 적용되는 보호수준과 수령국에 국제입양 아동에게 부여되는 보호수준이 수렴할 수 있으리라고 예측할 수 있다.

그러한 구조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중앙당국의 지정부터 시작해야 한 다. 헤이그협약은 중앙당국을 협약의 전면에 내세우고, 모든 협약상 의무 를 중앙당국과 권한당국의 업무로 만들어 놓았다. UN CRC 제21조 입양 조항과 1967 유럽아동인권협약에서도 아동의 입양결정을 ‘권한당국’에 의한 것으로 명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러나 권한당국이 어떠한 형태 로, 어떠한 지위로, 어떠한 역량을 가지고 존재해야 하는가와 어떤 절차 로 아동의 입양적격과 최종입양결정을 시행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광범 위한 각국 정부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었다.

반면, 헤이그협약은 각국 정부가 중앙당국이 어디인가를 부처와 담당 부서, 담당자 연락처까지 정확하게 밝히고 헤이그국제사법회의 사무국에 통보하고 투명하게 공개하여 전세계 누구나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386) 항구적 임무를 부여받은 권한당국을 특정하고 구체적인 업무의 책임소재 가 어디에 있는지가 확정되는 것이다. 한 당사국의 권한당국은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각기 대표적인 중앙당국과 소관 사안에 대 한 권한당국이 모두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법무부, 외교부, 복지부가 협 약의무에 대한 중앙당국으로 지정되어 있다.387)

386) HCCH,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the 1993 Hague Intercountry Adoption Convention, Guide to Good Practice, No.1 (2008), pp.45-53.

387) HCCH 홈페이지, 'Adoption' 항목내 ‘Central and other Authorities' 항목에서 확 인가능.

<https://www.hcch.net/en/instruments/conventions/authorities1/?cod=69>

2017.1.4. 최종방문.

. 중앙당국간 상호협력 체계

아동의 국제입양 절차에서 진행되는 모든 구체적인 조사와 결정이 양 국 중앙당국의 공동 책임으로 규정되어 있다. 아동권리 보호를 위한 선 언적 원칙들이 모두 중앙당국의 절차적 의무로 전환되어 있다. 아동의 입양적격 결정 (제4조 a), 국제입양의 결정 (제4조 b), 아동의 입양 동의 절차의 적법성 (제4조 c), 아동의 동의 확보 (제4조 d), 양친될 자의 자격

심사 (제5조), 국제입양 절차에서 부당 이익 금지 (제7조, 제32조), 입양

사후관리 (제9조), 일부 절차상 업무를 위임하는 경우 단체의 허가, 관리,

감독 (제10조), 예비 양부모의 아동 입양 신청 접수 (제14조), 입양대상

아동에 대한 보고서 및 양친보고서 작성 (제15조, 제16조), 아동의 출국 및 입국 (제18조) 등 모든 절차를 세분화하고, 그 절차에서 지켜져야 하 는 원칙을 제시하고, 중앙당국의 책임이 어디까지인지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중앙당국의 의무는 출신국과 입양국 중앙당국 간에 어떻게 배 분되고, 어느 중앙당국이 더욱 주도적인 의무를 가지는가에 대해서 상세 히 예시하고 있다.388) 이는 기존의 인권협약에서는 시도하지 않았던 것 이었다. 단지 국가 의무로 하라고 선언하고 있었지, 그 절차가 주로 어느 나라에 의해서 어느 단계에서 일어날 지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까지 규정 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정부간 협력체계가 ‘헤이그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기본틀이 된다.389)

헤이그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자면 다음과 같다. 송출국의 중 앙당국이 아동의 입양적격을 결정하고, 국내입양 가능성을 충분히 검토 한 후, 아동이 국제입양 대상이 된다는 결정을 한다.390) 수령국 중앙당국 은 입양을 희망하는 양부모로부터 아동 입양 신청을 받는다.391) 양부모

388) HCCH (2008), supra note 386, Annex 8.

389) Id., pp.37-44.

390) HCCH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 제4조.

391) HCCH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 제14조.

Persons habitually resident in a Contracting State, who wish to adopt a Child habitually resident in another Contracting State, shall apply to the Central

자격 심사를 실시하고 적합하다는 판단이 서는 경우, 이를 송출국 중앙 당국으로 전달한다.392) 양국 중앙당국이 각각 작성한 아동과 양부모의 보고서가 교환된다.393) 송출국에서 아동의 입양이 결정하고, 중앙당국의 확인서가 발급되면, 아동의 수령국으로의 이동과정에 있어서 신체적 법 적 안정을 보장해야 한다.394) 아동이 입양 가정 정착과정에 대한 사후관 리까지 양국 중앙당국간 상호협력 하에 이루어진다. 이후 아동의 ‘정체 성에 대한 알권리’, 자신의 입양정보에 대한 권리 보장 등이 양국 중앙 당국의 의무에 포함된다.395)

이러한 협약의무 이행을 위해서는 기존의 국제입양의 가장 주요한 기 반이 되었던 사적 중개입양의 네트워킹에 대한 전면적 개편이 요구된다.

입양 이후에 아동의 양부모의 자격 요건이 미비했음이 밝혀지면, 그 절 차가 인가기관 등에 의해 일부 수행되었더라도 최종적으로 수령국 중앙 당국의 책임이 된다. 입양인이 이후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알권리 차원

Authority in the State of their habitual residence.

392) Id., 제15조(1).

If the Central Authority of the receiving state is satisfied that the applicants are eligible and suited to adopt, it shall prepare a report (...).

(2) It shall transmit the report to the Central Authority of the state of origin.

393) Id. 제16조(1).

If the Central Authority of the state of origin is satisfied that the child is adoptable, it shall - a) prepare a report (...).

(2) It shall transmit to the Central Authority of the receiving state its report on the child (...).

394) Id. 제18조.

The Central Authority of both States shall take all necessary steps to obtain permission for the child to leave the State of origin and to enter and reside permanently in the receiving State.

제19조(2).

The Central Authorities of both States shall ensure that this transfer takes place in secure and appropriate circumstances and, if possible, in the company of the adoptive or prospective parents.

395) Id. 제30조(1).

The competent authorities of a Contracting State shall ensure that information held by them concerning the child's origin, in particular information concerning the identity of his or her parents, as well as the medical history, is preserved.

(2) They shall ensure that the child or his or her representative has access to such information, under appropriate guidance, in so far as is permitted by the law of that State.

에서 자신의 출생과 입양관련 정보에 대한 청구권을 보장받을 수 있다.

권한당국이 국제입양에 대한 부적절한 재정적 이익을 규제하는 것은 지금까지 모든 국제입양 관련 협약에 포함되어 있었다. 헤이그협약에서 는 재정적 이익에 대한 규제를 핵심목표로 하고 있다. 중앙당국이 인가 기관의 자격을 점검하고, 승인해야 한다. 입양수수료의 수준을 보고받고 승인하고 감시해야 하는 상세절차가 규정되어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후 별도의 절에서 상세히 논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