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제입양 목적의 아동매매 규제

살펴본 바와 같이, 부적절한 이익에 대한 규제는 사적 주체인 입양부 모와 입양중개기관을 규율하도록 중앙당국에 의무를 부과하는 체계로 이 루어진다. 국제입양 목적의 아동매매에 대해서는 UN 아동매매 선택의정 서에서 당사국이 형법상 범죄로 규율하도록 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수령국의 국내법제에 있어서는 사법협약인 헤이그협약의 규정보다 한층 강화된 조치라고 할 수 있다.

. 착취의 목적이 없는 아동매매 범죄

trafficking 범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착취의 목적이 있어야 한다. 일

명 Palermo Protocol이라고 불리는 trafficking에 관한 일반법이라고 할 수 있는 “UN Protocol to Prevent, Suppress and Punish Trafficking in Persons Especially Women and Children”437)에서는 trafficking에 대해 서 착취의 목적이 있어야 한다고 정의한다. 제3조 (a)에서 trafficking을 사람을 여러 불법행위를 통해 착취의 목적으로 모집, 이동, 거래, 입항

436) Id., pp.506-511.

437) United Nations Protocol to Prevent, Suppress and Punish Trafficking in Persons Especially Women and Children, supplementing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adopted by resolution 55/25 of 15 Nov. 2000, entered into force on 25 Dec. 2003.

혹은 인수하는 것으로 정의 내린다.438)

그러나 아동권리에 대한 국제규범은 착취의 목적이 없는 trafficking 과 아동매매라도 범죄로 인정하고 있다. UN CRC 제35조에서는 착취적 인 목적이 없는 경우에도 아동에 대한 trafficking 범죄를 인정하고 있 다.439) 대표적인 경우가 국제입양을 목적으로 한 경우이다. OAS의 Inter-American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ffic in Minors440) 제2조 에서는 미성년자의 국제 traffic은 불법적 목적 혹은 불법적 수단에 의한 것으로 규정하고,441) ‘불법적 수단’에는 부모 등의 동의를 얻기 위한 대 가 혹은 이익의 지불이 포함된다.442)

『아동 매매 아동 성매매 및 아동 음란물에 관한 아동권리에 관한 협 약 선택의정서』443)(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438) Id., 제3조 Use of terms

For the purposes of this Protocol:

(a) "Trafficking in persons" shall mean the recruitment, transportation, transfer, harbouring or receipt of persons, by means of the threat or use of force or other forms of coercion, of abduction, of fraud, of deception, of the abuse of power or of a position of vulnerability or of the giving or receiving of payments or benefits to achieve the consent of a person having control over another person, for the purpose of exploitation.

Exploitation shall include, at a minimum, the exploitation of the prostitution of others or other forms of sexual exploitation, forced labour or services, slavery or practices similar to slavery, servitude or the removal of organs;

439) UN CRC 제35조.

States Parties shall take all appropriate national, bilateral and multilateral measures to prevent the abduction of, the sale of or traffic in children for any purpose or in any form.

440) OAS, Inter-American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ffic in Minors, adopted at Mexico, D.F., Mexico, on 18 Mar. 1994, entered into force on 15 Aug. 1997.

441) Id., 제2조 b) "International traffic in minors" means the abduction, removal or retention, or attempted abduction, removal or retention, of a minor for unlawful purposes or by unlawful means.

442) Id., d) "Unlawful means" includes, among others, kidnaping, fraudulent or coerced consent, the giving or receipt of unlawful payments or benefits to achieve the consent of the parents, persons or institution having care of the child,

443)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n the Sale of Children, Child Prostitution and Child Pornography: adopted on 25 May 2000, entered into force on 18 Jan. 2002 (treaty No. 27531), 2016.6.10 현재,

of the Sale of Children, Child Prostitution and Child Pornography)는 아동의 국제입양을 위한 아동매매 행위를 각 국내법에 명백하게 범죄로 규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 선택의정서가 UN 아동권리협약에 부속 하여 성착취를 비롯한 모든 종류의 착취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특별한 목 적을 가지고 탄생한 배경에는 국제사회의 이에 대한 위기의식이 그만큼 컸기 때문이다. 국제입양에 있어서 일부 입양부모와 중개인 혹은 중개기 관의 행위가 아동매매 범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를 수령국 정부가 적 극적으로 규제해야 한다는 오랫동안의 국제사회의 지적이 이 선택의정서 규정에 반영되었다.

. 아동매매 범죄의 정의

아동매매 선택의정서가 모든 형태의 아동 매매와 성착취 행위를 각 국내법에서 처벌할 수 있는 규정을 두도록 하는 데 특히 중점을 두고 있 다. 각국의 형법에 이를 범죄로 분명히 규정하고, 엄한 처벌규정을 두고, 집행의 실효성을 담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동매매, 아동성매매, 아 동포르노에 대해 법적인 정의규정을 둔 최초의 국제협약이다.444)

특히 이 의정서는 수령국에 대한 규율의 의미가 크다. 아동의 학대, 강제노동, 성착취, 장기매매 등 명백한 범죄행위를 위한 목적이 아닌, 국 제입양을 위한 매매도 범죄로 규정하고 이러한 매매 행위에 대한 규제를 당사국의 의무로 규정하였다. 오랜 기간 동안 수령국에서 관행적으로 이 루어진 아동의 입양을 둘러싼 금전의 거래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수령국에서는 입양부모, 중개인, 중개기관이 익숙해져 있는 관행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선택의정서 제1조는 아동의 매매의 금지를 국가의 의무로 하고 있

173개국 비준.

<https://treaties.un.org/Pages/ViewDetails.aspx?src=TREATY&mtdsg_no=11-c&cla ng=_en>, 2016.10.7 최종방문.

444) Trevor B., “'International Criminalisation and Child Welfare Protection':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Children

& Society, vol. 22 (2008), pp.167-168.

다.445) 제2조에서는 ‘아동 매매’를 정의하고 있는데, 아동의 매매라 함은 아동이 어떤 사람이나 그룹으로부터 다른 사람이나 그룹으로 옮겨짐을 말하며, 이에는 금전적인 대가나 혹은 다른 종류의 고려도 포함될 수 있 다.446) 당사국은 최소한 이러한 행위들이 자국의 형법에 의해 처벌대상 이 되는 범죄행위로 규율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범법행위가 발 생하면, 국내에서든, 해외에서든, 개인에 의해서든, 조직적으로든 관계없 이 처벌받도록 해야 한다.447) 특히 이렇게 처벌되어야 할 아동매매의 범 죄에는 부적절하게 아동입양을 동의를 유도하는 행위도 포함되어야 함을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