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0.94%), 덴마크 (0.85%)이고, 미국은 0.2%였다.129)

다른 송출국과 비교해 보아도, 한국의 아동송출의 전체 규모와 출생 아동수 대비 비율은 이례적으로 높다. 이러한 통계는 한국의 독특한 입 양법제가 야기한 결과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해당 법제의 구체적 인 내용에 대해서는 다음 절에서 상세하게 논하겠다.

또한 2차대전 이후 인종간 입양에 대한 가능성과 수용성은 높아진 것 도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131) 부모와 아동이 인종이 다른 것은 현재 의 국제입양이 확산되기 이전에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것이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금기시되기까지 했다.132) 입양아동의 공급 처는 수령국과는 인종적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 지역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회적 수용이 불가능했다면 국제입양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수 없 었을 것이다.

(2) 공급의 확대

출신국이 아동을 보내는 원인의 배경으로는 사회경제적으로 가난한 국가에서 인구의 도시집중화와 확대가족 기능이 약화, 미혼모의 높은 임 신률에 비해 낮은 피임과 임신중절 접근성, 편모가정의 실업율과 빈곤율 이 높은 것을 꼽았다.133)

그러나 이러한 조건들은 사실상 선진국과 제3세계 국가들의 공통적이 고 일반적인 사회여건을 서술한 것이 불과하다. 이러한 조건이 어느 시 대에만 있었던 것도 아니고, 특정 국가에만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이런 여건이었다고 해서, 모두 아동 송출국이 되지는 않았다. 해당 국가가 국 제입양을 수월하게 하는 법제를 만들고, 제반 절차를 대행하는 전문적인

131) Alstein (1991), supra note 5 이후, Kane(1993), Lovelock(2000) 등 대부분의 사 회학자들이 같은 분석을 수용하고 있다.

132) 인종간 입양현상(transracial adoption)은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원주민들이 거주하 던 땅을 백인의 이주민에 의한 정복 역사를 가지고 있는 국가에서 원주민들을 이주 민들의 사회질서와 문화에 동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원주민의 어린 자녀를 강제로 이주민 가정에 입양시키거나 강제로 기숙교육기관에 수용하였던 역사가 있었다. 이러 한 행위가 원주민 가정과 아동에 끼친 해악이 극심하여, 이를 전면적으로 금지하고, 원주민 사회에서 발생하는 아동보호의 문제는 그 커뮤니티에서 해결하도록 하는 특별 한 법제가 만들어지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이런 배경으로 금기시 되던 인종간 입 양이 한국전쟁이후 아시아 전쟁 고아 입양을 계기로 인도적 행위의 성격을 가지게 되고, 매우 수용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McGillivray, A., “Transracial Adoption and the Status Indian Child”, Canadian Journal of Family Law, vol.4 (1985), pp.438-467 참조. 또한 로마법의 원칙인 입양은 자연을 모방한다는 것에도 정면으로 위배되는 관행이기도 하다.

133) Supra note 131.

국제적 중개기관을 허용하였는지 여부가 결정적인 원인이 된다.134) 송출국의 아동복지체계와 아동입양법제는 공백 상태와 다를 바 없었 다. 정부는 아동의 국제입양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이나 규율의 방법을 제대로 인식하지도 못하고 그럴 능력도 없는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사적인 입양기관과 친부모 사이에 사적 계약과 같은 입양동의가 남용되 고, 아동유기가 입양 수단으로 활용되는 결과를 낳았다.

(3) 전문 중개기관의 등장

송출국과 수령국간의 법제의 격차는 아동의 입양적격에 대한 준거법, 입양재판의 관할 혹은 재판 승인 등 국제사법 규범과 같은 해결하는 방 식을 기대할 수 없었다. 아동 출신국에서 법제의 공백상태에서 국제적 입양대행 기관들의 사업으로 국제입양이 이루어졌다. 주요 수령국 정부 는 자국 국민들의 수요를 충조하기 위해 이민법과 아동보호법제의 규제 를 완화하는 정치적 선택을 하였다.135)

결정적인 역할은 국제입양 절차상 중개에 대한 전문적 노하우가 쌓인 사적인 전문기관이 담당한다. Kane 역시 한국의 국제입양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전문적인 입양기관의 존재를 지적하였다.136) 홀트가 시초를 이 루는 이 현상에는, 송출국과 수령국의 전문 중개기관 간의 역할 분담과 네트워킹이 완성되어, 전세계적 국제입양 중개를 위한 전문적 인프라가 만들어졌다. 이들은 송출국에서 아동을 확보하고, 국내 절차를 마무리하 여 수령국으로 이동시키고, 입양절차를 완료할 수 있는 법률적 서비스까 지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국제적인 아동입양 중개를 위한 개인과 기관 들의 양적 질적 성장이 국제입양 확산의 가장 큰 요인이 되었다.137)

또 하나의 결정적 요인은 물론 이러한 중개에 소요되는 수수료, 기부 금 등 비용에 대해 예비 입양부모들의 지불능력과 지불의지가 매우 높았

134) Id.

135) Lovelock (2000), supra note 108, p.912-914.

136) Kane (1993), supra note 4, p.337.

137) Winslow (2012), supra note 59, p.319.

기 때문이다. 국제입양이 증가한 시기에 입양중개 비용도 급속하게 증가 한다. 이에 따라 국제입양 중개에 대한 재정적 유인도 증가하였다. 이는 수요와 공급이 법칙이 작동하는 시장의 원리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다.138)

(4) 수령국과 송출국 간 아동보호에 대한 차별

아동의 국제입양이 시장원리에 의해 지배될 수 있는 요건을 갖추었다 는 것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할 수 있다. 서구 국가에서도 법제가 갖추어 지기 이전까지는 사적입양 관행이 존재하였다. 입양동의를 조건으로 재 정적 이익을 금지하는 규정을 두었다는 것은 역으로 그러한 관행이 존재 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유럽의 수령국보다, 미국에서 사적입양의 관행은 더 강하다. 미국에서 아동이 상품처럼 거래되는 ‘시장’이 존재하는 현실을 직시하고 그에 대 한 시장 경제적 규율을 마련하는 것이 낫다는 극단적 주장이 이미 국제 입양이 확대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다. 이에 대한 논의의 시초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법학자이자 판사인 Posner라고 할 수 있다. 1978년 발표한 “아동 공급부족에 대한 경제학”이라는 논문은 입양을 아동의 수 요와 공급으로 설명하고, 시장논리적 규제를 주장하는 자극적인 논의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139) 이후 Posner와 같이 사회적 반향을 감당하면서, 아동입양에 대한 경제적 논리를 주장하는 이어가는 학자는 거의 없었다.

한편, 자녀가 없는 가정이 처한 극한의 ‘수요’는 입양뿐만 아니라, 시험 관 아기, 대리모 등의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이에 대한 법제적 논의는 일각에서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의 저변에서는

Posner와 같은 맥락의 현실 인식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해법은

달리 제시한다. 아동권리 보호를 위한 법적 제도적 규제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140)

138) Id., p. 337.

139) Landes, E. M. & Posner, R. A., "The Economics of the Baby Shortage", The Journal of Legal Studies, vol.7 (1978), pp.323-348.

문제는 수령국들이 자국 아동에 대한 해법을 국제입양 아동에게 동일 하게 적용하지 않는 것이다. 자국 아동의 국내입양에 대한 법제와 절차 와 외국 아동의 국제입양에 대한 법제와 절차는 시작부터 이원화되었고, 그 격차는 해소되지 않았다. 결국 국제입양 확대의 근본적인 원인은 법 적 보호에 있어서 차별이라고 할 수 있다. 제4절에서는 이러한 차별적 법제의 형성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 국제입양에 의한 아동권리침해

(1) 아동매매와 trafficking

국제입양으로 인한 아동권리 침해의 극단적인 현상은 아동 출신국에 서는 아동확보를 위한 trafficking과 아동매매 양상이 만연하게 되는 것 이다. 부실한 입양법제와 법집행 능력의 부재는 아동의 거짓 출생증명, 고아로의 신분 세탁으로 나타났다. 실제 남미에서는 임신한 젊은 여성을 대규모로 수용하여, 입양을 위한 아동을 출산하는 현상이 나타났다.141)

2002~05년까지 전세계적으로 국제입양 아동의 규모가 최대치에 이르 렀던 기간에 전세계적으로 아동매매와 trafficking 사건이 극심하게 나타 났다. 이 시기에 최대 입양국 미국으로의 아동 송출 상위 4개국은 중국, 러시아, 과테말라, 한국이었다.142) 중국은 1979년부터 이른바 ‘한자녀 정 책’을 추진했고, 남아선호의 유교적 전통과 맞물려 여아유기가 급증하였 다. 중국은 이러한 여아들의 보호를 명목으로 1992년부터 국제입양을 허 용하였다. 1995년 한해 2,500여명에서 2005년 14,500명 수준으로 급증하 면서 세계에서 가장 큰 국제입양아동 공급국이 되었다. 이러한 현상에는 trafficking이 배후에 있었다. 2005년 광동지방의 공무원과 고아원이 연계

140) Goodwin, (2010), supra note 5.

141) Supra note 8.

142) 미 국무부 홈페이지 ‘국제입양’ 부분의 ‘통계’ 참조. 2005년 기준 중국 7,906명, 러시아 4,639명, 과테말라 3,783명, 한국 1,630명이다.

<https://travel.state.gov/content/adoptionsabroad/en/about-us/statistics.html>

2016.10.23 최종방문.

된 대규모의 아동매매와 trafficking 사건이 적발되었다.143)

과테말라에서는 2005~07년까지 매년 4천~5천명 이상의 아동이 미국 으로 입양되었다. 이 숫자는 한해에 그 나라에서 태어난 아동 110명 당 한명에 해당한다.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에 걸쳐, 양국 언론에는 친부모로부터의 아동 매매를 넘어서서 길거리에서 혹은 집에서 납치한 아동을 거짓 입양동의를 통해 미국 입양을 중개해 온 변호사들과 이를 공모한 공무원들의 부패와 범죄에 대한 고발기사가 연일 터져나왔다.

UN, UNICEF, 헤이그국제사법회의에서 사실조사와 아동매매 특별보고관

의 현지실사가 이어졌다. 미국에서는 아동입국시 입양동의자와 아동의 DNA 테스트를 통해 동의자가 친모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의무화하 였다. 결국 2007년에는 과테말라와 미국간 아동의 입양이 전면 중단되는 극단적 처방을 내렸다.144)

(2) 부적격 입양부모

가족외 입양 절차에 있어서 수령국 국내입양과 국제입양 절차의 차이 중 핵심적 내용은 입양부모 자격심사라고 할 수 있다. 선진국의 국내입 양은 아동의 보호체계와 연결되어 있다. 아동 최선의 이익에 기반하여 공적기관이 아동보호를 위해 친권과 아동의 양육에 대해 개입하는 절차 가 진행된다. 이러한 국가의 개입은 경제적 지원을 포함한 양육지원을 통해 친가정 양육을 유지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한다. 친권자의 방임 학대 정도가 직접 양육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친권을 강제 로 종료하고 아동의 입양적격이 결정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2차 대전이후 선진국 입양법은 입양동의에 대한 규율을 대폭 강화하였기에, 단지 입양동의에 의해서만 입양적격이 결정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입양의 절차 이전부터 정부의 관리 감독에 의해 일련의 법원절

143) Hoshmand, L. T., Gere, S. & Wong, Y., “International Adoption and the Case of China: Implications of Policy, Theory, and Research for Psychoeducation and Counseling”, Asian Journal of Counselling, vol.13 (2006), pp.5-9; Brandeis Univ., supra note 7.

144) Supra note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