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수령국 위주의 국제입양 규제

. EU 주도의 동유럽 국가 입양개혁

1990년대 들어 아동의 국제입양의 규모는 UNICEF 등에 따르면, 연

간 2만명에서 3만3천명으로 파악되며, 이는 80년대에 비해 2배에 가까운 증가세였다.359) 아동입양에 관련된 스캔들은 유럽, 아시아, 라틴 아메리 카, 아프리카 모든 대륙에 걸쳐 일어났다. 특히 동유럽 체제 변화 과정에 서 루마니아에서 벌어진 국제입양 사태는 국제입양의 지형 변화에 영향 을 주는 계기가 되었다.

1990년대 초 동유럽 공산주의 체제가 붕괴되면서, 이들 국가 국민들

사법회의 회원국 중 67개국이, 비회원국 중 31개국이 비준했다.

<https://www.hcch.net/en/instruments/conventions/status-table/?cid=69>

2017.1.19. 최종방문.

358) HCCH, Convention on Jurisdiction, applicable law, recognition, enforcement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parental responsibility and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concluded 19 Oct. 1996, entered into force 1 Jan. 2002.

Convention On The International Recovery Of Child Support And Other Forms Of Family Maintenance, concluded 23 Nov. 2007, entered into force 1. Jan. 2013.

359) UNICEF, State of World's Children 2005, (2005); Selman, P., "Intercountry Adoption in the New Millenium: the "Quiet Migration" Revisited", Population Research & Policy Review, vol.21 (2002), pp.205-208.

의 열악한 생활모습과 함께 어린아이들의 고통이 서구 미디어에 집중적 으로 노출 되었다. 체코, 헝가리, 폴란드, 알바니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러시아에서는 각각 수만에서 십만이 넘는 아이들이 열악한 환경의 고아 원에 집단 수용되어 있었다. 좁고 불결한 환경에서 의식주조차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처참한 모습이 서구 언론에 집중 보도되었다. 특히 가 장 심각한 나라는 루마니아였는데, 차우체스크 정권 하에서 국력강화를 위해 인구를 늘리겠다는 목표로, 낙태 피임을 금지하고 한 가구당 5명 이상의 자녀를 낳게 하는 다자녀 정책을 지속해 왔다. 국가 체제가 바뀌 는 정치적·경제적 위기 상황에서 버려지는 아동이 급증했고, 이들은 그 렇지 않아도 열악한 고아원으로 집중 수용되었다. 미국의 소위 ‘입양사 회’라고 불리는 시민사회 일부를 중심으로 이들을 미국입양을 통해 구 제해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했고, 1991년 2,600건이 넘는 입양비자가 루마 니아 아동에게 발급되었다.360)

EU는 루마니아가 1993년 유럽연합에 대한 Association Agreement에 서명하고, 가입절차를 시작하면서 이 나라가 유럽연합체로 통합될 수 있 는 기준에 맞출 수 있도록 많은 분야에서의 개입을 시작한다. 이를 위해 루마니아는 각종 인권협약에 가입하는 것이 필요했다. 1989 아동권리협 약, 1967 유럽아동입양협약, 1993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도 포함되었 다.361) 유럽연합 통합이 진행되면서 특히 전 세계적인 여론의 관심을 받 고 있었던 아동보호와 국제입양에 대한 개혁 작업에 중점을 두었다. 시 설보호 아동을 가정보호로 전환하고, 국제입양 아동의 절차를 정비하는 문제에 집중적인 노력과 자원이 투입되었다.362)

1997년 루마니아의 아동보호 정책 개혁을 위해 사전에 실시한 전수 조사에 의하면, 98,872명의 아동이 653개의 시설에 수용되어 있고, 이는

360) 미 국무부 비자발급 통계,

<https://www.brandeis.edu/investigate/adoption/romania.html> 에서 재인용.

2016.10.24 최종방문.

361) 해당 Treaty 웹사이트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루마니아는 Statue of the Council of Europe을 1993. 7. 10 비준, UN 아동권리 협약은 1990 비준, 유럽아동입양협약 은 1993 비준,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은 1994년 12월 28일 비준하였다.

362) Council of Europe, 2000 Regular Report from the Commission on Romania's Progress Toward Accession (8 Nov. 2000), pp.19-20.

18세미만 인구의 1.7%에 해당하였다. 이들 중 부모가 아무도 없는 고아 는 1.8%에 불과하고, 13.9%는 부모 중 한명을 잃었다. 50% 이상의 아동 들이 부모가 다 있음에도 불구하고, 6개월 이상 부모와의 연락이 끊겼으 나, 대부분은 법적으로 친권에 대한 정리가 안 된 상태였다. 48.8%의 아 동이 출생증빙 서류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3.5%만이 사법적으로 유기되 었음을 증빙할 수 있는 상태였고, 1.3%만이 부모가 입양동의를 한 아동 이었다 (Strategia de dezvoltare a sistemului de protectie a copilului, 1998:2-3).363)

루마니아는 아동입양관련 법제를 집중적으로 개선하고, 정부에 전담 기관을 만들어 서로 다른 부처에서 집행하던 아동보호 관련 기능을 한 곳에 집중시켰다. 이러한 개혁 조치에는 EU의 조언과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EU는 루마니아에 아동보호 상태를 긴급하게 개선하기 위한 지원금을 투입하고, 전문가 그룹의 진단을 통해서 루마니아 정부가 취해 야할 조치를 조언하고, 이를 모니터링하여 루마니아의 유럽연합 가입을 위한 실태보고서에 반영하였다.364) 루마니아 사태에 대한 EU의 공동대응 은 EU 수령국 차원에서 국제입양에 대한 태도와 정책에 대한 변화의 주 요 계기가 되었다.

유럽연합은 그동안은 국제입양에 있어서는 수령국의 입장에서만 서있 었다. 동유럽 국가들의 유럽연합 가입으로 유럽은 송출국과 수령국이 공 존하는 지형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는 유럽이 처음으로 겪는 일은 아 니다. 이 지역은 이미 60년 전 제2차 세계대전의 폐허 속에서 아이들을 긴급하게 외국으로 이동시켜 보호해야 했고, 이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자국의 법제정비와 국제사법을 통한 조율로 아동보호체계를 마련한 경험 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후 자신들이 수령국이 되었을 때에는 제3세계 아 동에 대해서는 명백하게 이중 기준을 적용했다. 자국의 아동보호 체계와 국제입양에 이원화된 법제를 적용하고 시장원리에 의한 국제입양을 유발

363) Camelia M. L., "Social Protection of Children in Public Care in Romania from the Perspective of EU Integ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Policy and the Family, vol.17 (2003), pp.108-109.

364) CoE (2000), supra note 362.

하였다.

유럽은 다시 한 번, 20세기 말에 이르러 자기 지역 내에서 송출국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만나게 되었다. 유럽연합을 규율하는 아동의 국제입양에 대한 국제규범은 유럽연합에 새로이 가입하는 송출국 인 동유럽 국가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하며, 이들 국가들이 효과 적인 아동보호법제를 갖추도록 협력해야 했다.

2000년 유럽의회에 의해 채택된 “국제입양 : 아동의 권리 존중

(International adoption: respecting children's rights)” 라는 제목의 『결

의안 1443』은 이러한 유럽의 변화된 시각과 자세를 잘 보여주고 있

다.365)

“국제입양의 목적은 어떤 가격을 치르고라도 자녀를 가지고자 하는 외 국인 부모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어서는 안된다”366) “(유럽) 의 회는 국제입양이 자본주의적 수요 공급의 법칙에 따른 가난한 나라나 전환기 국가로부터 한 방향으로 흐르는 하나의 시장으로 전락한 것에 강력하게 반대한다.(...) 가난한 부모에 대한 정신적·금전적 압력, 친부모 와의 거래, 입양을 위한 임신, 입양아동 신분서류 조작, 인터넷 입양 등 아동입양을 수월케 했던 모든 범죄를 규탄한다.”367)

이와 같은 강한 어조로 그동안 스스로가 주도해왔던 국제입양의 관행

365) CoE, Parliamentary Assembly, International Adoption: Respecting Children's Rights, Recommendation 1443 (26 Jan. 2000).

366) Id., para 1.

The purpose of international adoption must(...) not (be) to enable foreign parents to satisfy their wish for a child at any price.

367) Id., para 2.

The Assembly therefore fiercely opposed the current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adoption into nothing short of a market regulated by the capitalist laws of supply and demand, and characterised by a one-way flow of children from poor states or states in transition to developed countries. It roundly condemns all crimes committed in order to facilitate adoption, as well as the commercial tendencies and practices that include the use of psychological or financial pressure on vulnerable families, the arranging of adoptions directly with families, the conceiving of children for adoption, the falsification of paternity documents and adoption via the internet.

을 범죄로 규정하고 규탄하였다.

“수령국은 외국아동이 출신국에서 사는 것보다 부자나라에 입양되는 것 이 더 좋은 것이라는 뒤틀린 편견에 사로잡혀 있었다.”368)

국제입양 규율의 주안점은 바로 보충성 원칙임을 확인하면서,369) 인 터폴의 협조를 통해서 아동매매와 조직적 범죄집단의 아동입양 관련 범 죄를 근절하는 것을 유럽연합의 목표임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370) 특히 새로운 EU 가입국에서 아동중심으로 사회 가족정책을 통해 이들이 태어난 나라와 원가정에서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아동유기 방 지, 가정기반의 대안양육 개발, 아동의 시설보호 보다는 국내입양을 지원 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371)

. 위기재난 상황에서 아동 입양 규제

아동권리와 입양에 대한 국제사회의 자세의 변화는 전쟁, 기근 등 재 난 상황에 대한 긴급구호적 성격의 아동의 국외이주와 입양에 대한 근본 적인 정책 변화를 불러왔다. 국제입양은 전쟁, 재난 등 위기 상황에서 아 동만 분리하여 선진국에서 보호할 수 있다는 논리에서 시작한 것이었다.

여전히 수령국 일부에서는 아동권리 보호를 위해 교전지역과 자연재해가 일어난 국가의 아동을 선진국으로 이주시키고 입양하여 구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강하다.372) 그러나 국제기준은 아동의 출신국이 부패와

368) Id., para 3.

In many cases, receiving countries perpetuate in misleading notions about children's circumstances in their countries of origin and a stubbornly prejudiced belief in the advantage for a foreign child of being adopted and living in a rich country.

369) Id., para 4.

370) Id., para 6.

371) Id., para 7.

372) Richards, A., “Bombs and Babies: the Intercountry Adoption of Afghanistan’s and Iraq’s War Orphan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Matrimonial Lawyers, vol. 25 (2013), pp.399-424; Bartholet, E.,

“Intercountry Adoption : Thoughts on the Human Rights Issues”, Buffalo

trafficking이 만연하여 아동매매가 의심되거나, 교전지역이거나, 자연재 해로 해당국 정부가 제대로 기능을 못하는 상황이라면, 아동의 국제입양 은 특히 더욱 신중해야 한다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1994년 UN 난민기구 (이하 ‘UNHCR’)에 의해 채택된 ‘난민 아동에

대한 보호와 양육에 대한 가이드라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선언하고 있 다.

대부분의 부모와 떨어진 아동(unaccompanied minors)은 고아가 아니 다. 따라서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부모를 찾는 것이지 입양이 아니다.

‘Executive Committee Conclusion No.24’에 따라 입양은 ‘친가족과의 관계 단절’이 있어야 가능하다. UNHCR의 정책은 위기 상황의 아동은 입양대상이 아니다. 이러한 경우의 아동의 입양은 아동 최선의 이익에 부합해야 하고, 관련 국내법과 국제법에 적법한 것이어야 한다.373)

헤이그국제사법회의는 2005년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쓰나미 사태시, 1993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의 당사국 여부를 떠나서, 모든 나라가 부 모와 분리된 아동들에 대해서, 불법적 국제입양 대상이 되는 것을 방지 하라고 권고하였다.374) 이 권고는 해당 아동에게 최우선적으로 가족을 찾고 부모와 재결합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져야 하며, 이러한 지역에서 해외로 아동을 이주하거나 입양하고자 하는 불법적인 시도를 방지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아동구호에 대한 대표적인 국제 NGO인『세이브더칠드런』은 재난 현장에서 아동을 질병과 위험에서 보호하는 것은 국제사회와 구호단체의 중요한 임무이나, 아동이 가정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난민아동 들을 보호하고 가족을 찾아주는 것이 분쟁지역과 재난지역에서 아동보호 의 최우선 순위가 되는 목표라고 밝히고 있다.375)

Human Rights Law Review, vol.13 (2007), pp.343-350.

373) UNHCR, Refugee Children : Guideline on Protection and Care, (1994).

374) HCCH, Asian-African Tsunami Disaster and the Legal Protection of Children (Press Release, 10 Jan. 2005).

375) Save the Children, Protecting Children in Emergencies, (Policy Brief, Spring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