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입양에서 수령국과 송출국의 구분은 자국내에 아동보호제도를 갖 추고 있는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의 격차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현상 이다. 국제사회에서 아동권리에 대한 국제적 최소 기준에 대한 합의가 있었으나,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에는 보다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했다.
대표적인 국제입양 수령국인 미국은 UN CRC를 비준하지 않았다. 앞서 미국의 입장은 UN CRC의 친권과 가족제도에 대한 규정이 연방제인 미 국의 상황에서 관할 충돌을 일으킨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보다는 미 국이 아동권리에 대한 국제규범으로서의 아동권리협약을 보는 시각에서 비롯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미국 오바마 행정부에 제출된 UN CRC 비준에 대한 미의회연구소의 정책보고서에서는, UN의 아동권리보호를 위한 국제협약의 규율 수준을 미국의 국내법에 의한 아동보호 수준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 다. 따라서 미국이 이 협약을 비준하는 의의는 자국의 아동권리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 아닌, 국제사회에 대한 외교적 목적이 더 크다고 평 가하고 있다.344) 즉, 국제협약에 비준하는 것이 자국내 아동보호 수준을
343) Id., the Government of Canada reserves the right not to apply the provisions of article 21 to the extent that they may be inconsistent with customary forms of care among aboriginal peoples in Canada.
344) Blanchfield (2010), supra note 334, pp.17-18.
높이는 데는 실질적인 효과가 없다고 본 것이다.
반면, 송출국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국제기준을 받아들이는 의미가 정 반대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사실상 많은 송출국들이 UN CRC 제21조에 아동의 국제입양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자국 내 아동의 복 지를 위해 국제입양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도 된다고 허용하는 규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345) 1986 UN 아동보호선언에서부터 매우 상세하게 송 출국내에서 벌어지는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방지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법 적 원칙들을 규정하고 있으나, 이러한 원칙의 선언적 제시는 이미 제도 화된 송출국의 국제입양 관행 앞에서는 속수무책이었다.
이러한 입장은 아르헨티나와 베네주엘라의 제21조에 대한 유보에 잘 나타나 있다. 이들 국가의 유보의 대상은 국제입양을 아동의 복리를 위 한 보호형태 중의 하나로 인정하고 이를 국가가 시행할 수 있다고 인정 하는 제21조(b)부터 (e)항이다. 당시 남미에서는 국제입양에 따른 스캔들 이 빈발하고 있었다. 자국 상황이 다른 당사국들과 달리 아동보호 체계 에서 취약함을 감안하여, 이러한 국제입양의 허용조항이 자칫 국제입양 의 편리함에 국가정책이 기울어 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었다.346) 아동 의 입양제도를 보호수단으로 허용한다면 자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국제입 양에 대한 스캔들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은 정반대의 의도로 제21조(a)를 유보하고 있다. 입양제도를 가지
345) Pillotti, F., Intercountry Adoption: Trends,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 for the 1990's, Childhood, vol.1 (1993), p.173.
346) Supra note 41, UN CRC 비준현황 참조.
The Argentina Republic enters a reservation to subparagraphs (b), (c), (d), and (e) of article 2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declares that those subparagraphs shall not apply in areas within its jurisdiction because, in its view, before they can be applied a strict mechanism must exist for the legal protection of children in matters of inter-country adoption, in order to prevent trafficking in and the sale of children
Venezuela
Article 21(b) : The Government of Venezuela understands this provision as referring to international adoption and in no circumstances to placement in a foster home outside the country. It is also its view that the provision cannot be interpreted to the detriment of the States obligation to ensure due protection of the child
고 있으면서, 제21조(a)를 유보하고 있는 당사국은 한국이 유일하다. 이 조항은 아동의 입양결정을 권한당국이 즉, 책임있는 공적기관이 결정하 여야 한다는 의무이다. 한국은 입양제도를 아동의 보호수단으로 활용하 기 위한 나머지 조항들은 채택하면서도 입양결정을 공적기관의 책임으로 한다는 핵심조항만을 유보하고 있다.347)
한국의 제21조(a) 유보에 대해서 UN 아동권리위원회는 한국의 국가 보고서에 대한 검토회의를 계기로 수차례 지적하면서, 유보철회를 촉구 해왔다. 1996년 한국의 UN아동권리협약 가입 이후 첫 번째 국가보고서 에 대한 검토의견에서는 한국의 협약 가입시의 유보가 협약의 원칙과 조 항들과 양립가능한 것인가에 의문을 제기한다.348) 2003년 검토회의에서 는 어조가 훨씬 강경해 지면서, 한국정부에 대해 민법의 개정을 통해 21 조(a)의 유보를 철회하고 1993 Vienna Declaration and Programme of
Action 에 부합하도록 할 것을 권고하였다.349) 가장 최근인 2011년 검토
회의에서도 아동입양이 아동 최선의 이익을 고려하여 권한당국의 결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보장하는 21조(a)에 대한 유보를 유지하고 있음을 우 려하며, 이를 철회할 것을 권고하였다.350) 20여년 전부터 UN 아동권리위
원회와 UN의 주요 협약기구들은 한국의 아동의 입양제도에 대한 우려
와 문제를 제기하고, 법제개선을 계속해서 요구해 왔다.
송출국과 수령국 간의 법제의 격차를 수정하기 위한 국제인권규범을
347) Id., Republic of Korea Reservations:
The Republic of Korea considers itself not bound by the provisions of paragraph (a) of article 21 and sub-paragraph (b) (v) of paragraph 2 of article 40.
On 16 October 2008,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formed the Secretary-General that it had decided to withdraw the reservation in respect of article 9, paragraph 3 made upon ratification.
348)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Concluding Observations of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Republic of Korea, UN Doc.
CRC/C/15/Add.51 (13 Feb. 1996), para.8.
349)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Consideration of Reports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44 of the Convention.
Concluding Observations: Republic of Korea, UN Doc. CRC/C/15/Add.197 (18 Mar. 2003), para.10.
350) UN Doc. CRC/C/KOR/CO/3-4 (6 Oct. 2011), para.8~9.
마련하였으나, 결국은 양자 간의 이행능력의 격차를 확인하는 것으로 귀 결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UN 인권협약의 가장 주요한 이 행보장 수단은 협약 기구에 의한 국가보고서에 대한 검토의견이라고 할 수 있다. 대체로 이를 통해 권유된 사안은 당사국의 국내법적 정비가 이 루어지고 지적된 조항에 대한 이행을 개선하기 위해 시정된다. 한국의 경우는 국제입양의 송출국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일부 당사국의 경우에 아동입양에 대한 협약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법제의 개선과 특별한 노력이 필요한 과제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국내 가족법제, 아동보호법제를 대폭 정비해야 할 뿐 아니라, 아동의 양육, 보호를 위한 가족지원과 대안양육을 위한 경제적 자원과 사회복지 적 제도를 갖추는 것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 대해 새로운 국제적 규율 체계가 헤이그국제사법회의를 통해서 등장하게 된다. 다음 장에서는 국제사법 체계에 의한 규율인 1993 헤이그국제아동 입양협약이 아동권리 보호를 위한 국제규범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채 택한 법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