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그협약 20년 특별위원회에서는 견해는 헤이그 협약의 효과가 있 었던 원인과 향후 국제규범이 지향해야할 가치를 두 가지로 제시했다고 본다. 아동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 입양과 보충성의 원칙이다.
가. 아동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 입양
특별위원회는 ‘특수한 욕구’를 가진 아동의 국제입양이 증가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특수한 욕구를 가진 아동이란, 신체적․정서적․행동적 장애를 가진 아동, 7세 이상의 아동, 형제․자매가 함께 입양되어야 하는 아동 등을 의미한다.476) 이는 곧 아동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 입양이라 는 의미와 연결된다. 아동이 필요한 가정에 아동의 공급이 아니라, 가정 이 필요한 아동에게 가정을 찾아주기 위함이 입양제도의 목적이라면, 특 수한 욕구를 가진 아동들이 ‘입양’이라는 제도를 필요로 하는 주체라는 의미이다.
시장원리에 의한 입양조차도 명목상으로는 이러한 입양을 내세웠다.
‘고아’에게 가정이 필요하다는 논리였다. 고아원에 수용된 아동들은 대표
적으로 입양이 이들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 대상이라고 보았다. 그러 나 그 동안의 국제입양의 경험은 실제로 국제입양이 되는 아동들은 고아 가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해 오고 있다.
루마니아가 1990년 아동의 국제입양을 허용하고 나서, 뉴욕타임즈의
“루마니아의 아기 시장”이라는 심층보도는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불
476) Id.
러일으켰다. 당시 루마니아로부터 연간 수 천 명의 아동이 미국과 서유 럽으로 입양되었다. 루마니아 내 고아원에 수용된 3세미만 아동은 8천명 에 달했다. 그러나 해외로 입양된 아동들은 고아원 아동이 아니었다. 집 단수용에 의한 정서 발달장애, B형간염, 에이즈 감염 등의 우려가 있는 고아원 수용 아동들은 서구 양부모들에게 외면당했다. 루마니아의 입양 브로커들은 외국 양부모들을 시골로 데리고 갔다. 그 지역 병원은 질병 검사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편리한 중개 장소가 되었다. 양호한 환경에서 태어난 건강한 아동들이 가난한 시골 농부, 집시, 미혼모로부터 단 300불이나 차를 대가로 입양을 위해 넘겨졌다. 중개비용은 2,500에서 15,000불 수준에서 형성되고, 5,000불 이하로 아동을 입양할 수 있는 단 체 ‘관광’ 프로그램도 있었다.477)
입양이 필요한 아동이 정작 입양에서 배제되는 국가의 사례로 미국이 대표적으로 거론된다. 미국은 자국내에 입양을 기다리는 아이들이 수없 이 많으나, 이들은 주로 유색인종이라 양부모가 선호하지 않거나, 나이가 많아 새로운 가정에 적응하기 어려운 아동들이다. 양부모의 수요에 맞는 인종과 나이의 아동은 국제입양을 통해 들어오고, 그렇지 못한 자국아동 은 외국으로 입양을 보내거나, 위탁가정에서 보호한다. 세계 최대 수령국 인 미국은 국제입양의 송출국이기도 하다.478)
유럽 33개국의 국제입양과 아동의 고아원 수용 현황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에서, 동유럽의 많은 송출국들에서 국제입양으로 아동의 고아원 수 용을 감소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증가시키고 있는 결과를 보여준다.479) 아동의 복지를 외국에 의지하도록 만드는 국제입양의 경험이 자국 아동 을 스스로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역량과 의지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분석하는 학자도 있다.480)
477) Hunt (NYT, 1991.3.24.), supra note 7.
478) Country Profil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or 1993 Hague Intercountry Adoption Convention. (2015.4.10.),
<https://www.hcch.net/en/instruments/conventions/specialised-sections/intercount ry-adoption>, 2016.2.2. 최종방문.
479) Chou, S. & Browne, K.,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Care and the International Adoption of Children in Europe", Adoption & Fostering, vol.32 (2008), pp. 40-48.
헤이그국제사법회의 20년 평가 특별위원회에서 중점은 헤이그 절차가 각국의 법과 실제에 정착되어가면서 ‘아동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 입 양이 되도록 규율되고 있다는 평가였다.481)
나. 국제입양의 보충성 원칙
헤이그협약이 불러온 변화 중에 특별위원회가 주요한 원인으로 파악 한 것은 보충성의 원칙이 송출국에서 지켜지기 시작했다는 점이었다. 헤 이그 특별위원회는 송출국들의 아동보호 체계가 강화된 것이 국제입양의 추세의 변화를 불러온 주요 원인이라고 파악하고 있다.482) 결국 관건은 송출국 내에서의 아동 송출 과정이 얼마나 아동권리 보호를 위해 적법하 게 이루어지는가이다.
국제입양의 통계는 헤이그국제입양협약과 헤이그 프로세스가 지난 20 여년간 분명한 영향력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제사회가 지난 60 여년간의 국제입양의 경험을 통해 배우고 규범을 발전시켜 온 것은 사실 이다. 핵심과제는 송출국 내에서 아동의 보호에 대한 국가의 의무를 제 대로 이행하도록 보장되도록 하는 조치이다.
국제입양에 있어서 아동권리 보호를 위한 국제규범은 앞으로 송출과 정에 더욱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본다. 송출과정에 대한 국제규율은 입양에 대한 법제의 논의 초기부터 주요 과제였다. 핵심절차인 입양적격 의 결정과 보충성의 원칙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법리가 발전되어 왔다.
수령국 내에서는 이러한 원칙은 자국내 아동보호체계에 정립되어 있다.
문제는 이 원칙이 국내법제에서 지켜지는 수준과 실제 관행에 있어서의 수령국과 송출국 간에 근본적인 격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격
480) Dickens, J., "The Paradox of Intercountry Adoption: Analysing Romania's Experience as a Sending Countr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11 (2002), pp.76-83.
481) HCCH,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adopted by the Fourth Meeting of the Special Commission on the Practical Operation of the 1993 Hague Intercountry Adoption Convention (2015), para.1.
482) Id., para. 2-3.
차가 국제입양을 유발하고 있다는 점은 앞서 고아입양법제와 국제입양의 확산과 관련해서 설명했다. 이러한 문제를 국제협력을 통해서 해결해 나 가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는 국제사회가 안고 있는 새로운 과 제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유럽인권 수준에 맞추어진 유럽아동입양협약, UN에서 국제 인권규범으로 제시된 1986 아동보호선언과 1989 아동권리협약, 그리고 헤이그국제입양협약에 이르기까지 국제입양 아동의 권리보호를 위한 국 제규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협력 노력은 실제로 국 제입양 추세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까지는 국제적 규율의 주안점과 비중이 수령국에 대한 규제에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헤이그국제 사법회의가 자체적으로 평가한 헤이그협약의 효과 원인은 아동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는 입양과 보충성의 원칙이었다. 이는 향후 국제입양에 대 한 국제적 규율은 송출국 내의 법제와 관행에 보다 초점이 옮겨져야 한 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다음 장에서는 아동 송출과정의 국제적 규제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용에 국제협력을 강화해야 하 는지에 대해서 논하도록 하겠다.